서울시민 10명중 4명 이상이 서울시의 경기버스 억제 정책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의 ‘수도권 광역버스 정책의 지역 갈등’ 연구보고서를 1일 발표했다.
보고서는 지난달 24~26일 도민 500명과 서울시민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했다.
이 결과 경기버스로 인한 서울시 버스전용차로의 혼잡 여부에 대해 도민의 41.%, 서울시민의 40.6%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반면, 도민 66.2%, 서울시민 42.6%가 서울시의 경기버스 억제 정책이 ‘잘못된 정책’이라고 답했다.
‘잘하는 정책’이라고 답한 비율은 도민의 8.4%, 서울시민의 19.4%에 불과했다.
경기버스 억제정책 찬성 이유로는 도민(54.8%)과 서울시민(63.9%) 모두 ‘서울 경계 환승 경로 존재’를 꼽았다.
반대 이유로는 ‘동일한 버스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도민 45.9%, 서울시민 35.2%)이 가장 많았다.
서울시 버스전용차로 혼잡 완화 방안으로는 도민(44.4%)과 서울시민(58.8%) 모두 ‘서울 외곽 경기버스 환승센터 설치’를 1순위로 꼽았다.
이와 함께 도민의 79.2%, 서울시민의 78.0%는 도에서 서울출근에 대한 대책을 경기도와 서울시가 공동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박경철 휴먼교통연구실 연구위원은 “서울시는 경기버스에 대한 차별보다는 버스전용차로 확장과 같은 적극적인 친대중교통 정책을 수립해야 하고, 경기도는 기존 광역버스 노선과 보유대수 내에서 최적의 운영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