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법 개정안 재의를 앞두고 새누리당 내부에서 유승민 원내대표 사퇴를 놓고 찬반의견이 극명하게 갈리면서 친박계와 비박계간 일촉즉발의 전운이 감돌고 있다.
5일 새누리당 안팎에 따르면, 친박계는 국회법 개정안 논란이 마무리되는 시점을 기해 유 원내대표가 거취문제를 매듭지어야 한다고 ‘사퇴시한’을 못박은 반면 비박계는 물러설 이유가 없다며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친박계는 6~7일 유 원내대표가 물러나야 한다고 최후 사퇴시한을 정하고 이 때까지 물러나거나 물러나겠다는 입장 표명이 없으면 사퇴를 묻는 의원총회를 소집할 태세다.
친박계는 의총 소집을 위해 수십명을 ‘지원군’으로 확보했다고 주장하며, 유 원내대표 사퇴를 놓고 표결까지 가더라도 충분히 승산이 있다는 전망도 내놨다.
애초 유 원내대표 사퇴에 부정적이던 비박계 의원들도 적지 않은 수가 ‘사퇴 불가피론’으로 돌아섰다고 주장한다.
친박계는 물밑 여론전을 펴는 가운데 유 원내대표가 물러서지 않을 경우 지역별·선수별로 입장을 표명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반면 비박계 의원들은 친박계에 맞서 6일 본회의 직전 별도 회동을 검토 중이다.
이들은 친박계 의원들이 6~7일 사퇴 의사를 밝히되 추가경정예산안 통과까지만 원내사령탑으로서 ‘시한부 역할’을 맡아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말이 안 된다”며 일축했다.
특히 일각에선 이번 사태가 유 원내대표의 사퇴로만 끝나는 게 아니라 친박계의 당권 장악 시도로 이어지지 않겠느냐는 의구심도 제기된다.
이에 상당수 비박계 의원들은 여전히 유 원내대표의 정면 돌파에 힘을 보탤 분위기다.
또 거취 판단은 유 원내대표 자신의 몫이며, 이를 존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