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청년 눈높이·경기침체 손 꼽아
정년 60세·고학력도 부정 영향
청년
기업 노력부족·학교교육順 답변
정부·정치권 정책실패로 취업난
학계
산업구조 변화 탓에 취업 곤란
경기침체·노동운동도 원인
청년 고용을 제약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기업은 ‘청년 눈높이’를 청년 구직자는 ‘기업의 노력 부족’을 꼽아 견해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계 및 전문가는 ‘산업구조 변화’, 근로자는 ‘학력 과잉 및 학교 교육’을 청년 실업의 주요인으로 지목했다.
26일 한국경영자총협회의 ‘청년 고용 제약요인 인식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업은 ‘청년 눈높이’(8.12점), ‘경기 침체’(7.85), ‘정년 60세 의무화’(7.69), ‘학력 과잉 및 학교 교육’(7.68), ‘기득권 중심 노동운동’(7.49) 등 순으로 청년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높게 평가했다.
반면 청년 구직자는 ‘기업의 노력 부족’(7.72), ‘학력 과잉 및 학교 교육’(7.70), ‘경기 침체’(7.67), ‘정부 및 정치권 정책 실패’(7.38), ‘기득권 중심 노동운동’(7.08) 등의 순으로 청년고용 제약 요인을 꼽아 기업과 상당한 인식 차이를 보였다.
근로자는 ‘학력 과잉 및 학교 교육’(7.75) 문제를 1순위 요인으로 지적했으며 ‘청년 눈높이’(7.74), ‘기업의 노력 부족’(7.45), ‘경기 침체’(7.33), ‘정부 및 정치권 정책 실패’(7.28) 순으로 응답했다.
학계는 ‘산업구조 변화’(7.39)와 ‘경기 침체’(7.34), ‘기득권 중심 노동운동’(7.3), ‘학력 과잉 및 학교 교육’(7.28), ‘정년 60세 의무화’(7.2) 등 순으로 지적했다.
특별한 조치가 없으면 청년실업 문제가 어떻게 될 것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장단기적으로 악화할 것이라는 답변이 응답주체 모두 70% 이상이었다.
청년 실업을 해결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할 주체로는 정부(50.3%)와 기업(27.8%)이 꼽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