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비리 사건의 ‘키’로 지목되고 있는 정준양(67) 전 포스코그룹 회장이 결국 검찰 조사를 받는다.
사건을 수사하는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조상준)는 정 전 회장을 오는 3일 오전 10시에 검찰청사로 출석시켜 조사한다고 1일 밝혔다.
지난 3월 13일 포스코건설 압수수색이 이뤄진 뒤 6개월여 만이다.
검찰은 정 전 회장의 재임 기간인 지난 2009년부터 지난해 사이에 포스코그룹에서 빚어진 각종 비리 의혹을 놓고 정 전 회장의 관여 여부를 집중 조사할 방침이다.
특히 포스코그룹이 플랜트업체 성진지오텍의 지분을 비정상적으로 인수하는 데 영향력을 행사했는지가 우선 조사 대상이다.
성진지오텍 인수는 정 전 회장 시절의 대표적인 부실 인수·합병 사례로 꼽히는데 포스코는 지난 2010년 3월 성진지오텍 주식 440만주를 시세의 2배에 가까운 주당 1만6천331원에 사들였다.
당시 성진지오텍 최대주주로, 정 전 회장과 친한 것으로 알려진 전정도 세화엠피 회장은 지분매각 과정에서 막대한 시세차익을 남겼지만 포스코는 큰 손실을 입었다.
이 과정에 정 전 회장이 적극 개입했다면 배임 혐의가 적용될 수 있다.
검찰은 포스코건설이 협력사인 동양종합건설에 해외공사를 몰아주는 등의 특혜를 주는데 정 전 회장이 관여했는지 여부와 협력업체 코스틸에 정 전 회장의 인척이 고문으로 재직하며 4억원대의 고문료를 챙겼다는 의혹도 조사 대상이다.
검찰 안팎에서는 정 전 회장의 소환조사가 포스코 비리 수사의 마지막 단계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실제 검찰은 100억원대 비자금 의혹의 핵심인물인 정동화(64) 전 포스코건설 부회장에 대해 수십억원대 배임 혐의로 5월 구속영장을 청구했으나 기각됐고, 보강조사를 거쳐 지난 7월 청구한 두 번째 구속영장마저 받아들여지지 않는 등 번번이 수사의지가 좌절됐기 때문이다.
전 정권 실세들과의 친분을 배경으로 포스코에서 각종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된 배성로(60) 동양종건 전 회장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배임·사기 등 7가지 혐의를 들어 영장을 청구했으나 기각됐다.
일각에서는 검찰이 정 전 회장 소환조사를 끝으로 수사를 마무리하고 이달 추석 연휴 전에 수사결과를 발표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