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몸의 건강유지에 감정이 중요

 

아동기의 감정적 경험에서 병의 원인을 찾는 책.

저자 게이버 메이트는 독일 나치의 홀로코스트 생존자로, 유아기에 가족 대부분이 살해되거나 추방당하는 극한의 고통을 겪었다.

그런 상황 속에서 그는 자기 감정을 억누르고 고통을 참아내며 부모의 고통을 배려하는 것을 자신의 성격으로 삼았다.

내과의사가 됐음에도 ‘부모와 자식 간의 애착 관계’, ‘주의력 결핍 장애’, ‘중독’ 등 심리적 저술들을 잇달아 펴낸 것은 자기감정에 대한 성찰과 치유가 절실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저자는 책에서 자기희생적 대처 방식을 성인이 되어서도 바꾸지 않으면 몸이 이를 거부하며 스스로를 공격한다고 말한다. 마음의 상처들은 천식에서부터 류머티즘 관절염, 알츠하이머병, 암까지 여러 가지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는 첼리스트 재클린 뒤 프레, 야구 선수 루 게릭, 위대한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과 퍼스트레이디 베티 포드 등 다양한 환자들의 삶과 경험에 대한 인터뷰와 고찰을 토대로 몸의 건강 유지에 치명적인 감정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그는 ‘독자들에게 드리는 글’에서 이렇게 말한다.

“독자들에게 오랜 지혜가 담긴 통찰을 재확인시키는 현대 과학의 업적을 소개하는 일은 기쁘고 명예로운 일입니다. 이것이 이 책을 집필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이었습니다. 또 다른 목적은 스트레스에 내몰리고 있는 우리 사회에 거울을 들이밀어, 우리가 어떻게 무수히 많은 무의식적 방식으로 우리를 괴롭히는 질병의 발생을 돕고 있는지 똑똑히 인식하자는 것이었습니다.”/김장선기자 kjs76@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