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8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달을 보면서 사람들은 밝음과 원만함을 자주 이야기한다. 그래서 달빛에 붙이는 수식어에는 은은함이나 밝음이 많다. 휘영청이 대표적이다. 또한 달의 ‘빛’은 ‘볕’이라 하지 않는다. 햇빛 처럼 뜨거움 보다는 차가움이 많아서다. 하지만 햇빛 보다는 포용력이 더 크다. 전해지는 빛이 부드럽기 때문이다. 특히 달빛은 어둠을 몰아낸다기 보다는 어둠의 일부를 밝히는 역할을 하면서 어둠과 공존한다. 달빛이 신비주의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것도 이같은 이유가 작용해서다.

그중에서도 망월(望月)혹은 만월로 부르는 보름달은 신비를 더한다. 밝기도 최대한으로 높아져 길흉을 점치거나 소원을 비는 첫째 대상이 되기도 한다. 뿐만 아니다. 행성중 원형의 상징성을 보름달 만큼 완벽하게 갖춘 것도 없다. 특히 8월과 정월보름달의 둥근 원형은 갖출 것을 다 갖춘 충족의 상징으로 여겨 신성시 했다. 초승달부터 보름달에 이르는 과정을 ‘달이 찬다.’고 한다. 이 또한 기울고 모자라는 것이 꽉 차오른다는 풍요 뜻으로, 보름달에만 해당되는 말이다.

달은 그리움의 상징이기도 하다. 예부터 수 많은 사람들이 달을 보며 고향을 떠올리고 사랑하는 이를 회상하며. 이와 관련된 애틋한 시화(詩畵)를 무수히 남겨서다. 그런가 하면 힘들고 어려울 때도 달을 보며 슬픔을 달랜다. 또 원하는 곳으로 가고 싶어도 가지 못하는 신세도 달을 보며 토로 한다. 신사임당은 그 심정을 이렇게 노래 했다.

천 리 고향은 만 겹의 봉우리로 막혔으니/ 돌아가고 싶은 마음은 길이 꿈속에 있도다/ 한송정 가에는 외로운 보름달이요/ 경포대 앞에는 한 바탕 바람이로다/모래 위엔 백로가 항상 모였다가 흩어지고/ 파도머리엔 고깃배가 각기 동서로 왔다 갔다 하네/ 언제나 임영 가는 길을 다시 밟아/ 비단 색동옷 입고 슬하에서 바느질할까?

이번 추석(27일)엔 보름달 중에서도 가장 크다는 슈퍼문(Super Moon)이 휘영청 밝게 뜬다고 한다. 따라서 더 많은 사람들이 건강, 취업, 결혼, 부자소망을 빌 것으로 보인다. 덕분에 월하독작(月下獨酌 달 아래 홀로 술잔을 기우리는) 하는 이들이 줄었으면 좋으련만./정준성 주필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