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로 국회의원 선거가 다가왔다. 정치의 계절이 또다시 시작되고 있는 것이다. 여야가 벌써부터 공천 룰을 놓고 계파 간 갈등을 겪고 있는 것을 보면 더욱 실감이 난다. 새정치연합혁신위원회에서 촉발된 3선 이상과 당 원로급의 2선 후퇴 및 격전지 차출설 등이 정치권을 흔들고 있다. 실제로 새정치연합은 3~4선의 중진들에 대해 출신지역을 떠나 격전지 출마를 권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집권당인 새누리당 역시 물갈이론에서부터 오픈프라이머리(국민경선제)를 놓고 친박, 비박과 청와대 등이 한 데 얽혀 갈등을 빚고 있다. 가관들이다.
이러한 가운데 며칠 전 한 여론조사전문기관이 지난 주 실시한 ‘현역 국회의원 평가’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응답자의 47%가 내년 4월 국회의원 선거에서 지금과 다른 사람이 당선됐으면 좋겠다고 답했다 한다. 반면 현역의원이 다시 당선되는 것이 좋다는 응답자는 24%에 불과했다. 응답자의 2/3 이상이 현역 국회의원을 신뢰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물론 국회의원들을 모조리 물갈이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인데다 대폭 물갈이가 이뤄진다고 해서 훌륭한 국회의원이 다 되는 것은 아니다. 19대 때 예를 들더라도 당선자 300명 중 149명(49.7%)이 초선이어서 절반이 물갈이됐다. 그러나 초선 의원들의 활동이 국민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다만 총선이 다가오면 정치인들의 불신은 더해지기 마련이다.
정치인들이 국민들로부터 외면당하는 이유는 자신의 할 일을 망각하고 ‘제 밥그릇’ 챙기기에는 여념이 없다는 점이다. 이번 국정감사에서도 추석 연휴 분리 국감까지 실시했지만 전례 없이 가장 최악의 겉치레였다는 비난을 받았다. 총선을 염두에 둔 정치공세만이 판을 쳤다. 성실한 준비도 없었다. 사정이 이러니 국회의원들은 언제나 그랬듯이 피감기관과 증인을 불러 호통과 망신 주기, 황당한 질문으로 일관했다.
여야 지도부들은 당내 문제로 국정감사에 집중하지 못했다고 반성은 했다. 잘못을 시인했으니 그나마 다행이다. 공천을 어떤 기준으로 할 것이냐애 대해 여야 의원들은 그저 목숨을 걸 정도다. 자신들의 앞길만 챙길 뿐 국민들은 안중에도 없는 게 문제다. 그러고서도 유권자들로부터 어떤 심판을 받을지 모르는 그들이다. 정치는 상황변화에 따라 언제든 요동칠 수 있어 생물이라고 하지만 이건 아니다. 국민을 무서워하지 않는 국회의원은 반드시 표로 심판받는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