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 교수진이 학생, 동문들에 이어 대학과 인천시가 체결한 학교 운영비 지원 협약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며 대학 지원금을 조속히 지급하라고 촉구하고 나서 사태가 일파만파로 확산되며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인천대 교수 219명은 18일 성명을 내고 인천시의 인천대 운영비 지원 충실한 이행과 기금회수 시도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교수진은 이날 성명에서 “인천시가 법인화 원년부터 5년 동안 매년 학교운영비 300억원을 교부해야 하나 올해 인천시 예산에는 150억원밖에 책정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특히 “회계연도 마감이 임박한데도 분명한 답변조차 없으며, 예산에 책정된 150억원 마저도 제때 지급되지 않아 대학운영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교수진은 “인천시는 인천대발전기금과 지방대학특성화기금에 대한 조례를 폐지해 인천대에 귀속된 기금을 모두 가져가려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또 “인천시가 올해 지급해야 할 300억원은 국가와 인천시민을 상대로 서명한 엄중한 공식적 계약으로 어떤 이유로든 이를 지키지 않는다면 공적책임을 망각하는 것이다”고 비판했다.
교수진은 “인천시는 이 파행적인 인천대 운영비 및 기금 문제를 조속히 정상화해야 하며 인천대 집행부 또한 상황이 더 악화되기 전에 적극적으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학의 발전 없이 지역사회가 홀로 발전할 수 없다”며 “대학과 지역사회 발전을 향한 대학구성원들의 염원에 부합하는 인천시의 전향적 태도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인천대는 2013년 1월 시립대에서 국립대로 전환됐다. 당시 인천시는 2013년부터 5년 동안 매년 300억원씩 대학 운영보조금을 지급하기로 인천대와 협약을 맺었지만 시 재정난 때문에 지급에 차질을 빚고 있다.
/김상섭기자 k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