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광역버스 입석 문제 해결 및 도민 출퇴근길 안전 등을 위해 도입한 2층 광역버스가 22일 첫 운행했다.
이날 오전 김포 양촌읍 대포리 차고지를 출발한 8601번 2층 버스는 서울시청까지 왕복 97㎞ 구간을 운행하게 된다.
이 버스는 높이 4.0m, 너비 2.5m, 길이 13.0m로 차실높이는 1층이 1.82m, 2층이 1.70m다.
운전석을 제외 1층 13석과 2층 59석 등 총 72석으로 일반 광역버스에 비해 30석 이상이 많다. 대당 가격은 4억5천만원이다.
특히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저상버스 형태를 택했으며 차체기울임 장치, 휠체어경사판 등도 장착됐다.
이용객 편의를 위해 좌석마다 USB충전포트, 독서등, 하차벨을 설치하고 무료 와이파이도 제공된다.
안전봉, 계단 손잡이, 정차벨 시인성, 장애인 좌석, 운전자 확인용 모니터, 워셔탱크 위치, 사이드미러 위치 등 이용편의와 안전상 보완이 필요했던 부분도 개선됐다.
도는 이날 운행을 시작한 8601번 노선을 시작으로 총 9대를 운행할 계획이다.
오는 30일에는 8002번(대성리~잠실역)과 8012번(내촌~잠실역) 등 남양주시 2개 노선 및 김포시 1개 노선(8600번·양촌~서울시청), 다음달 10일에는 남양주 노선인 1000-2번(호평동~잠실역) 1대와 김포 노선인 8601번(대포리~서울시청) 3대 등이 추가 투입된다.
남경필 지사는 이날 새누리당 홍철호 국회의원(김포), 문연호 김포부시장 등과 2층버스에 타 차고지부터 김포 한강신도시 풍경마을까지 10㎞가량의 운행 상황과 불편사항 등을 살펴본 뒤 “그동안 광역버스 공급력 부족으로 인한 입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고민을 했다”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2층버스가 하나의 대안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남 지사는 이어 “도민의 출퇴근길 안전을 위해 도입되는 만큼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분야별 안전대책을 시행하겠다”고 덧붙였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