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34만원이상 보조금 인상
시중엔 60만원 폰 39만원 보조
판매점, 리베이트 수입만 의존
수익구조 열악 ‘팔고 보자식’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시행 1년여가 지나도록 불법보조금 꼼수는 여전히 판치고 있었다.
특히 단속을 피하기 위해 각종 은어와 암호까지 동원한 불법거래도 만연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지역 유통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갤럭시S6의 경우 월 6만원대 데이터 요금제 선택 시 평균 60만원선에 판매되고 있다.
이는 이달부터 인상된 휴대폰 보조금 상한액 34만5천원을 적용한 가격이다.
앞서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달 24일 전체회의를 열어 단말기 보조금 상한액을 기존 27만원에서 30만원으로 인상하는 안을 의결했다.
판매점이나 대리점은 여기에 15%까지 보조금을 추가로 지급할 수 있어 보조금 상한액은 최대 34만5천원까지 오르게 된다.
하지만 일부 매장에서는 평균 판매가의 절반도 안되는 가격을 앞세워 소비자들을 유혹하고 있었다.
수원 팔달구의 휴대폰 판매점 A 업체는 갤럭시S6를 월 6만원대 데이터 요금제를 조건으로 21만원에 판매중이다.
정상가 60만원을 제외한 나머지 39만원 가량은 보조금 상한액을 넘어선 불법지원금이란 얘기다.
또 아주대 인근의 휴대폰 판매점 B 업체는 평균 판매가 87만원의 아이폰6S를 54만원에 판매하고 있었다.
이처럼 관련법의 규제를 어기면서까지 제품을 판매하는 것은 열악한 수익구조때문이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B 업체 관계자는 “유치고객의 통신비 일부를 매달 수당 형태로 지급받는 대리점과 달리 판매점들은 기기 판매에 대한 리베이트 수입에만 의존하고 있어 일단 팔고 보자는 식이 많다”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관계 당국의 단속을 피하기 위해 일반인이 쉽게 알아듣지 못할 암호와 은어로 위장하기도 했다.
이를테면 ‘수육 끓이는 시간 21분, 쥐 4마리 굽는 4분, 공책 5권 사러 문방구 가는 시간 38분’ 식이다.
‘수육’은 삼성 갤럭시S6를, ‘쥐 4마리’는 LG G4를, ‘공책 5권’은 삼성 갤럭시노트5를 의미한다.
‘수육 끓이는 시간 21분’, ‘문방구 가는 시간 38분’은 해당 제품을 각각 21만원과 38만원에 내놨다는 뜻이다.
또 ‘어제 수원역에서 59번 욕먹고 현아가 36번 춤췄습니다’는 월 5만9천원 데이터 요금제 가입 후 현금으로 36만원을 돌려받았다는 뜻이다.
업계 관계자는 “처음에는 단속을 피하기 위해 업주나 소비자가 괴상한 암호를 만들어 사용했지만, 이제는 대부분 암호를 누구나 알게 돼 업계의 은어로 자리잡았다”고 말했다.
/윤현민기자 hmyun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