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얇은 지갑… ‘델몬트’ 대신 ‘콜라·사이다’ 마신다

닐슨코리아 소비 트렌드 조사

탄산음료 시장 작년비 4.4%↑

탄산수 시장은 173.7% 성장

과일주스류 8.2% 감소 대조적

서울시가 ‘시민 건강’을 명분으로 지하철·공공시설 자판기에서 탄산음료 퇴출을 추진하고 있지만 유해성 논란에도 탄산음료를 찾는 사람들은 오히려 늘고 있다.

26일 정보분석기업 닐슨코리아의 소비 트렌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탄산음료 시장 규모(판매액 기준)는 작년 상반기보다 4.4% 늘었다.

닐슨코리아의 판매 통계는 전국 대형마트·슈퍼마켓·일반식품점 등 주요 소매점에서 수집된 실제 판매 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출된 것이다. 4% 중반 수준의 탄산음료 성장률은 같은 기간 전체 음료 시장이 1.9% 커진 것과 비교해 눈에 띄게 좋은 성적이다.

소비 침체의 여파로 음료 세부 품목 가운데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것은 탄산음료 외 탄산수(173.7%), 초코 드링크류(6.7%), 생수(5.9%) 정도 뿐이다.

반면 같은 기간 상대적으로 값이 비싼 과일쥬스류 판매는 8.2%나 줄었고, 스포츠 드링크(-4.1%)와 음용식초류(-2.7%) 등도 뒷걸음질했다.

특히 탄산음료 판매는 올해 상반기 뿐만 아니라 지난해 상반기에도 전년동기대비 8.8% 뛰는 등 최근 장기 불황에도 수년째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처럼 ‘불황 속 효자’ 노릇을 하는 탄산음료에 대한 서울시의 자판기 판매 제한 방침이 공식 발표되자 음료업계는 “억울하다”는 반응과 함께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음료업체 관계자는 “서울시의 제한 근거가 탄산음료에 설탕이 많아 성인병 등의 원인이 된다는 것인데, 당분으로 따지면 초콜릿·사탕류·케이크 등이 모두 마찬가지로 탄산음료만 특별히 더 문제가 된다고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