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교육청이 내년도 예산(안)에 인천 전체 중학교 1학년 의무급식비의 절반을 편성한 가운데 강화 지역 학부모들의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강화통통학부모연합회는 17일 농어촌지역인 강화의 현실을 무시하고 의무급식비 반값만 지원하겠다는 것은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시교육청은 지난 11일 ‘2016년도 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예산(안)’에 인천 지역 전체 중학교 1학년 의무급식비의 절반인 95억원을 편성했다.
예산분담 방안은 시·군·구와 협의해 시·군·구가 50%를 지원하게 하는 것이다.
시교육청과 강화군은 지난 7월, 4천700만원씩 부담해 강화군 중1 무상급식비를 추경에 반영했으나 교육위 예비심사와 예결위 심사과정에서 삭감된 바 있다.
시의회는 타 지자체와의 역차별과 형평성 문제 등을 언급하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강화통통학부모회는 전국 농어촌학교 학생들이 학교급식법 등 관련법 상 급식비를 지원받고 있어 강화의 형평성 논란을 주장했다.
전국 농어촌 지역 중학생 의무급식은 경남과 인천 강화를 제외하고 모두 실시되고 있다.
이청연 교육감도 내년도 예산(안)을 발표하며 강화군만이 아닌 인천 전체 지역의 의무급식비 편성으로 형평성 문제에 대응했다.
반면 시의회는 연말 진행되는 시민협의회 결과를 지켜본 후 판단하겠다는 모호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강화통통학부모회 이준서 회장은 “시의회에서 의무급식비 예산편성을 반대하면 농어촌지역인 강화의 의무급식도 반값으로 가는 것 아니냐”며 “강화의 의무급식은 인천 시내 학교의 의무급식과는 다른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강화와 인천을 분리하는 것 보다는 인천시 중학교 전체의 의무급식 실현이 우선”이라며 “예산안 반영 결과가 좋지 않을 경우 강화군의 의무급식을 논의하는 것이 순서”라고 말했다. /류정희기자 rj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