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총선시민연대’가 3일 발족식을 갖고 공식 출범했지만 정작 도내 시민?사회단체들은 뚜렷한 활동계획이 없어 적극적인 낙천?낙선운동을 위해서는 공동대응기구 설립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역?부문별 273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총선시민연대는 3일 발족식을 갖고 “정치권의 자정노력에 더 이상 기대할 것이 없다”며 “다시 한번 낙천?낙선운동을 천명하고 제2의 유권자 혁명을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총선시민연대는 이에 따라 오는 5일 16대 전현직 국회의원 303명 가운데 1차 낙천대상자를, 10일에는 정치신인 등 비현역의원 중에서 2차 낙천대상자를 각각 선정, 발표하고 최종 낙선 대상자 명단은 다음달 중순쯤 발표할 계획이다.
그러나 도내 10여개 시민?사회단체들은 2월 중 총회와 운영위원회를 열고 총선수위를 결정하는 등 현재까지 뚜렷한 총선운동방향을 설정하지 못한 상태다.
경기경실련은 경기환경운동연합과 공조를 모색하기 위한 확대회의를 개최하고 있지만 특별한 계획을 도출시키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수원환경운동센터도 후보자들에 대한 검증과정을 반드시 거칠 것이라며 다음주 운영위원회에서 낙천?낙선운동의 수위를 결정할 계획이다.
특히 수원여성회 등 도내 여성단체들은 여성 정치세력화에 초점을 맞춰 낙천?낙선운동보다는 당선운동을 전개할 전망이다.
수원환경운동연합은 중앙의 결정에 따른다는 기본 방침을 정하고 5일 발표되는 1차 낙천대상자 명단 결과에 따라 방향을 설정하고 공동대응기구 설립을 주장했다.
결국 이들 단체들은 총선운동 방향설정을 결정하지 못하고 있는 한편 독자적 낙천?낙선운동보다 ‘공동대응기구’ 설립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환경운동연합 측은 “적극적인 총선대응에 대해서는 동감하지만 독자적 후보 검토에 많은 시간이 필요한 만큼 제대로 된 총선운동을 위해서는 공동대응기구 설립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