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수원 이의동 개발을 발표했지만 정작 시기, 비용, 환경, 도시구성 등에 필요한 예산을 확정짓지도 않은 채 첨단시설 유치계획만 발표해 자칫 비용증가로 주민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4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오는 2010년까지 총 5조8천억원을 들여 수원 이의동 일대 337만평에 행정, 첨단산업, 교역 등 자족시능을 갖춘 ‘경기도 첨단행정 신도시’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도는 개별적인 재원조달 내용없이 전체 사업비만 책정해 개발계획을 발표해 사업 차질에 따른 추가비용에 대한 대책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업추진과정에서 재원조달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을 경우 개발비용을 높이기 토지를 분할매각하거나 분양가를 높이는 등 이 지역이 부동산 투기지역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도는 신도시 난개발을 막기 위해 신분당선을 연장하고 내부순환 경전철을 도입하는 한편 동?북부외곽순환도로와 수지우회도로, 의왕-과천고속화도로를 확장할 방침이다.
수도권 남부지역 광역교통망 계획에 따라 국고사업으로 추진했던 용인 동백-서울 양재간 도시고속화도로를 민자사업으로 전환해 당초 6천500억원의 공사비가 1조2천억원으로 늘어났다.
결국 신분당선 사업을 민자로 추진할 경우 저밀도로 개발하는 수원이의동 신도시의 분양가를 높여 부족재원을 충당할 수 있을 전망이다.
또 도로건설을 신도시 개발시 발생하는 개발이익금을 재원으로 사용해 제2의 난개발이 우려되고 있다.
한편 도는 구체적인 입지 및 재원조달, 일정 등을 확정하지 않고 무조건 5천억원을 도가 부담해 서울대 첨단 연구개발센터인 ‘차세대 융합기술원’을 이의동에 유치한다고 밝혀 도민부담가중을 무시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또 파스퇴르, 인텔, 델파이 등 세계적인 기업 연구시설 유치추진 계획만 밝혔을 뿐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내 시민단체들은 “337만평의 행정신도시를 개발할 경우 각종 참단산업단지 조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교통망 구축에 들어가는 비용을 조달하기 위해 분양가를 올릴 수밖에 없다”며 “판교신도시처럼 재원조달의 어려움으로 신도시 공동주택의 분양가가 평당 800만원 이상 치솟아 부동산투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