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서수원권 주민들의 극한 반대에 부딪혔던 화성시의 광역화장장 ‘함백산메모리얼파크’ 건립사업이 본격 추진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24일 사업부지 내 원형보전지역을 제외시키는 조건으로 국토교통부의 중앙도시계획위원회(중도위) 심의를 최종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화성시는 오는 2018년까지 1천212억여원을 들여 매송면 숙곡1리 일대 부지 30만여㎡에 화장시설(화장로 13기 내외)과 장례식장(6실), 봉안시설(2만6천440기), 자연장지(3만8천200기), 부대시설(공원·주차장 등)을 설치할 계획이다.
사업이 완료되면 화성시와 부천·안산·시흥·광명 등 경기 서·남부권 500만 주민들이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공동으로 추진하는 5개시의 화장장 이용 비용은 원가를 산출해 이윤을 남기지 않는 선에서 결정하고, 기타 자치단체는 30~50% 정도만 추가로 더 받아 타 화장장에 비해 사용료를 절반 수준으로 낮출 계획이다.
앞서 지난 2013년 후보지 공개모집으로 시작한 광역화장장 사업은 2년6개월 동안 환경영향평가와 주민의견을 청취했고, 행자부 지방재정투자사업 심사, 경기도 그린벨트관리계획 변경 심의를 통과했다.
이 과정에서 광역화장장 예정부지로부터 2.2㎞ 떨어진 수원시 호매실지구 주민들이 대책위를 구성, 대기오염과 부동산 가격 하락 등을 이유로 사업 백지화를 요구해 갈등을 빚었다.
시는 광역화장장에서 배출하는 다이옥신 농도는 담배 1개비보다 22배 이상 낮게 예측된다는 경기연구원의 용역결과를 제시했다.
또 도는 갈등조정운영회를 운영하면서 “현행법상 수원지역 주민에게 사전동의를 받을 필요가 없고, 대안 없는 반대를 해 갈등조정이 어려운 실정”이란 입장을 보여왔다.
화성시 관계자는 “국가적인 장려사업이 과학적인 근거에 따라 합리적인 결정이 내려져서 기쁘다”며 “서수원 주민들이 걱정하는 환경 훼손이나 재산피해가 없도록 대기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하고, 시설을 개방해 주민검증을 받는 등 노력하겠다”고 환영했다.
반면 수원시 관계자는 “갈등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나 해소하지 못한채 중도위의 승인에 대해 유감스럽다”며 “도와 화성시에서도 갈등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유감의 뜻을 표명했다.
한편 칠보산화장장건립저지비상대책위원회와 서수원 주민들은 이날 국토부 세종청사를 찾아 ‘외압 속에 진행되는 중도위 승인절차 취소하라’는 등의 피켓을 들고 반대했다.
/화성=최순철기자 so5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