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장애 환자들이 강박사고를 다스리고 정상적인 삶을 되찾기 위해 활용할 만한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치료법을 담고 있는 강박장애 전문서.
10여 년째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저자들은 직접 임상 연구를 통해 증명한 훈련법을 소개해 독자 스스로 실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강박장애는 불안장애의 일종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를 앓고 있지만, 강박사고가 일어나는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
이 책은 강박장애와 강박사고의 특징과 원인을 설명한 후 이를 치료할 수 있는 실전 훈련법을 덧붙인 순서로 구성했으며, 이 실전 훈련법을 직접 실행해 보면서 중간 중간 간단한 테스트를 통해 스스로 발전 상황을 점검할 수 있도록 했다.
책은 총 11장으로 구성돼 있다. 1장은 강박장애의 주된 치료법으로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에 대해 살펴본다.
2장은 여러 사례를 들어 강박장애의 다양한 모습들을 보여주고,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또 자신이 지금 강박사고를 하고 있는 것인지 아닌지 점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3장에서는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을 하지 않으려고 노력해도 강박사고가 사라지지 않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그 치료법과 원리를 간략하게 말해준다.
4장은 자신이 겪고 있는 강박장애 증상은 어떤 것인지 알아본다. 또 강박장애 증상의 특성이 무엇인지 행동측면, 인지측면이라는 2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
5장에서는 강박적인 행동이 지속되는 이유를 알아보며, 강박장애가 주기적으로 발생한다는 점에 대해 설명한다. 6장에서는 성공적인 치료를 방해할 수 있는 장애물을 환자 스스로 찾아내도록 도와주고 변화에 대비하는 훈련을 소개한다.
7장은 사고가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함으로써 강박사고에 대해 걱정을 하면 할수록 강박장애는 더 심해지는 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8장에서는 폭력이나 성에 관한 강박사고를 직접 경험한 실제 환자들의 이야기를 보여주며, 이런 특정 유형의 강박사고에 대처하는 훈련법을 소개한다. 9장은 종교적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을 구체적으로 다루며, 이를 극복하는 방법까지 설명한다.
10장에서는 노출훈련을 통해 강박행동과 상쇄행동을 최대한 줄여나갈 수 있도록 노출훈련법을 자세히 설명하며, 마지막 11장에서는 달성한 목표를 유지할 수 있는 비결을 제시한다.
/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