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협약당시 3년 연장 명시
새롭게 밝혀지면서 특혜 논란
공모 기다리던 지역농협 반발
“참여기회 박탈 불공평” 하소연
시 “단위농협 관리·운영 힘들 것”
경기남부권 최대 규모인 수원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이하 농협수원유통센터)의 오는 9월 위·수탁기간 만료를 앞두고 차기 운영주체 선정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가운데 수원시가 공모가 아니라 기존 운영주체인 농협중앙회와의 연장방침을 세운 것으로 나타나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특히 5년전 공모 당시 일방적으로 세웠던 공모지침 등이 반발에 부딪히자 수정 등의 우여곡절을 겪은 시가 공모절차 마련은 커녕 농협중앙회를 제외한 타 단위농협의 경우 관리·운영 자체가 어려울 것이라는 일방적인 주장까지 내세우고 있어 노골적인 특정단체 밀어주기 의혹마저 커지고 있다.
10일 수원시 등에 따르면 수원시 구운동의 농협수원유통센터는 지난 2003년 사업비 714억원을 들여 대지 8만5천여㎡, 연면적 4만3천여㎡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의 경기남부권 최대 유통센터로, 개점 초부터 운영하던 농협중앙회가 지난 2011년 단위농협인 수원농협과의 혈투끝에 다시 5년간의 운영권을 획득, 현재 영업 중이다.
이에 따라 오는 9월 30일부로 농협수원유통센터의 위·수탁기간 종료가 임박하면서 차기 운영주체 선정을 둘러싸고 벌써부터 공모일정 확인과 공모의향서 준비 등 치열한 물밑경쟁이 불붙은 상태다.
특히 농협수원유통센터의 차기 운영주체 선정 여부가 향후 고양, 성남, 김포, 양주 등 다른 지역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의 운영권 선정에도 여파를 미칠 것이란 예상속에 뜨거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그러나 앞서 지난 2011년 일방적인 공모지침을 내세웠다가 수원농협은 물론 지역 여론의 반발에 급하게 수정하는 촌극을 빚었던 수원시는 이같은 관심은 아랑곳없이 운영권 3년 연장 방침을 내부적으로 확정한 것으로 알려져 파문이 일고 있다.
더욱이 시가 공모절차 마련 등으로 투명한 운영권자 선정준비에 착수하기는 커녕 지난 2011년 농협중앙회와 ‘위·수탁관리운영 협약’ 체결 당시 상호 협의에 의거한 3년 단위 연장을 명시한 것으로 새롭게 밝혀지면서 특혜 협약 논란과 함께 지역농협과 주민들의 반발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시는 농협수원유통센터를 관리·운영할 능력을 갖춘 지역농협은 없다는 입장까지 공공연하게 내세우고 있어 지역농협 배척 논란의 새로운 점화와 함께 유착 의혹까지 불거지고 있는 상태다.
수원농협 한 관계자는 “농협중앙회가 지역농협들보다 규모가 큰 것은 인정하지만 수원시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 위·수탁 관련 공모 절차를 기다리는 입장에서 정상적인 절차도 없이 일방적으로 기간연장을 한다는 것은 불공평하다”며 “시가 지역민과 지역농협에게 기회를 주지는 못할망정 참여기회마저 박탈한다는 것은 노골적인 특정업체 일감 몰아주기라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농협중앙회는 지난 2011년 당시 인테리어 및 판매시설 설치를 위해 137억원을, 지난해 주차장 설치에 56억원의 시설투자비를 들였다”며 “협약조건에 3년 연장 조건이 없었다면 시설투자도 안했을 것이고, 이 정도 규모의 센터를 관리·운영할 단위농협은 없다. 그동안 큰 문제가 없었던 만큼 위·수탁기간을 3년 연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농협중앙회는 1일 평균 1만여명의 이용객, 일 매출 6억1천여만원의 농협수원유통센터의 매출액의 0.5%인 년간 10억여원 내외의 사용료를 시에 내는 것으로 알려져 특혜 논란속에 불법 임차 수입 올리기 논란 등의 물의를 빚기도 했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