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운전자 2명중 1명이 과속방지턱으로 인해 사고 위험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운전자 가운데 30%는 차량이 부서지는 피해를 본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의 ‘불합리한 과속방지턱을 개선하자’ 연구보고서를 13일 발간했다.
보고서는 지난 6~7일 도민 1천6명을 대상으로 과속방지턱 인식 설문조사(5% 신뢰수준, 표본오차 ±2.97) 결과를 토대로 했다.
조사결과 도민들은 하루 평균 10.5개의 과속방지턱을 경험하고, 이 가운데 42.9%인 4.5개가 통행에 불편을 준다고 느꼈다.
또 응답자의 54%는 과속방지턱으로 인해 교통사고 위험을 경험했다.
사고위험 요인은 앞 차량의 급작스런 감속으로 인한 추돌(50.4%), 충격으로 차량 조작 어려움(23.4%), 피하려다 사고 발생(21.1%) 등이 꼽혔다.
과속방지턱으로 인한 차량파손을 직접 경험한 운전자도 30.3%에 달했다.
이로 인해 응답자의 68.1%는 현재 과속방지턱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다.
대표적인 문제점은 잘 보이지 않아 불편(31.9%), 필요 없는 곳까지 설치(31.9%) 등이었다.
경기연은 전국 과속방지턱에 의한 교통사고 절감비용(연간 5천787억원)보다 과속방지턱으로 인한 이용자의 통행시간 증가비용(연간 7천166억원)이 많아 연간 1천379억원의 사회적 비용이 발생, 과속방지턱 설치·관리에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경철 연구위원은 “무분별한 과속방지턱 설치를 제한하고 신기술과 결합된 과속방지턱을 도입하기 위해선 과속방지턱을 포함한 관련 시설물 전체에 대한 종합적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