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도시공사에서 김포한강신도시 내 스포츠센터와 자원화센터 운영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이용자들이 공개입찰을 통해 전문업체가 운영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탄원서가 시와 시의회 등에 제출되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18일 시에 따르면 시가 한강신도시 내에서 배출되는 각종 생활쓰레기 소각 및 음식물 처리시설을 설치와 함께 수영장, 헬스장 등 주민편익시설인 자원화센터를 그 동안 민간 전문업체에 위탁 운영 해왔다.
이는 당초 시가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는 특수시설로 경험이 풍부한 민간의 전문 운영기술로 소각시설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사고방지 및 연속운전 등 운영비 절감을 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시가 최근 민간 위탁에서 김포도시공사로 운영 주체를 바꾸기로 해 스포츠센터 이용자들이 반발하는 등 잡음이 일고 있다.
시민 민 모씨는 이날 언론사에 배포한 자료를 통해 “시가 수개월 전까지만 해도 전문업체 선정을 위해 조례를 개정하는 등 민간위탁 준비를 해 오다 돌연 태도를 바꿔 김포도시공사가 운영한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행정 처리”라고 시를 비난했다.
민씨는 “열분해 용융방식의 소각로를 김포도시공사가 전혀 운영해 본 경험이 없어 위험성이 매우 높고, 운영미숙에 의한 비용의 과다 지출될 뿐 아니라 타 자치단체의 동일한 운영방식 소각로에서 통상적으로 연간 수 십 차례씩 소각로를 멈추게 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김포도시공사가 직접 운영하게 되면 주민편익시설의 운영 원가도 대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돼 모든 서비스의 질이나 이용 편의성, 시설 환경 유지 관리 수준은 낮아져 이용하는 주민들에게 큰 피해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포도시공사 관계자는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소각장 운영과 관련해서는 현재 근무하고 있는 기술직 직원들을 그대로 고용승계로 이어지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포=천용남기자 cyn5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