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누리과정(만 3세∼5세 무상보육) 지원금을 둘러싼 준예산 사태로 교사 임금 체불 공포와 원아 이탈 등의 보육대란이 현실화된 가운데(본보 2016년 1월 21일자 1·9면) 보육대란의 직격탄을 맞은 경기지역 사립유치원장과 학부모들이 누리과정 예산 편성과 집행을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고 사태 해결을 촉구했다.
한국유치원총연합회 경기지회 회원들과 학부모 등 800여명은 21일 수원시 경기도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보육대란에 앞서 당장 1월분 봉급 지불이 어려워 교사와 일반 직원들 생활에 막대한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돼 1·2월분 봉급이라도 지불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성토했다.
이들은 성명을 통해 “유치원연합회는 보육대란을 막고자 노력하고 있다”며 “정부, 교육청, 여야 정치권 모두 절박한 사립 유치원의 현실을 직시하고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학부모 대표는 “학부모와 유치원, 아이들까지 볼모로 잡고 흥정을 하는데 화가 치밀어 오른다”며 호소했고 사립유치원 교사 대표도 “학부모들이 누리과정비를 못 받게 되자 유치원에 아이들을 보내지 못하게 되고, 내 생계를 위한 급여도 지급이 안 될 것이라는 불안감이 크다”고 울먹였다.
이들은 또 원아 유출, 임금 체불 등 현실로 다가온 보육대란에 우려도 나타냈다.
김포의 A사립유치원장은 “160명이 입학하기로 예정돼 있었지만, 며칠새 40명이 입학을 포기한다고 알려왔다”고 설명했으며 평택의 B사립유치원장도 “운영비의 70%가 교사 인건비 등 경직성 경비인 상태서 인건비 지급일(25일)이 코앞이라 임금 체불이 실제로 일어날 위기에 몰렸다”고 호소했다.
반면 유치원 관계자들은 누리과정 예산 미편성에 따른 원비 인상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리의 C사립유치원장은 “누리과정비가 입금되지 않아 발등에 불이 떨어진 것은 사실이지만, 학부모 부담금을 인상할 생각은 없다”고 강조했다.
송기문 수석부회장은 “서울지회에서 유치원비를 인상한다는 언론보도가 있었지만, 사실 무근이다. 일부 사립유치원들이 개별적으로 공문을 보냈을 뿐 지회 차원의 결정은 아니다”며 “경기지회 또한 유치원비 인상을 할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유치원총연합회 경기지회는 오는 25일까지 경기도교육청으로부터 예산 편성 승인 관련 답변을 서면으로 받기로 한 상태라 오는 28일 임시회 전까지 집회를 열지 않고 사태를 조금 더 지켜보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