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시풍속을 체험할 수 있는 ‘북새통1-문배와 입춘방’ 행사가 오는 29일 오전 11시 수원전통문화관에서 열린다.
입춘은 한 해를 마무리하고 다시 새로운 해를 맞이하는 날로, 역귀를 쫓는다는 의미로 닭과 호랑이의 모습을 본 뜬 그림인 ‘문배(門排)’를 집 벽이나 대문에 붙여 그 해의 액을 피했다.
24절기의 첫 번째 절기인 입춘에는 벽이나 문짝, 문지방 따위에 봄이 온 것을 기리고 한 해의 소망을 기원하는 글인 ‘입춘방’을 붙여 봄이 온 것을 송축했다.
수원전통문화관은 입춘을 맞아 우리 조상들이 행했던 세시풍속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유영숙 민화작가를 초청해 입춘과 문배의 유래에 대해 소개하는 인문학 강의를 열고, 서울시 무형문화재 제38호 이수자인 김영훈 선생과 함께 입춘방 쓰기, 문배 그리기, 나만의 한글 싸인을 만들 수 있는 체험의 장도 운영한다.
또 방문객들을 위한 세시풍속-북새통1 ‘이 달의 차’인 도라지차(茶)를 시음할 수 있는 자리도 마련했다.
재단은 2016년 새해를 맞아 수원전통문화관을 방문하는 시민들과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잊혀져가는 한국의 세시풍속문화를 알리고자 ‘세시풍속-북새통’을 매월 진행한다.
다음달 20일부터 21일까지 ‘북새통2-정월대보름’을 열며, 3월 5일부터 6일까지 ‘북새통3-머슴날’을 진행한다.
자세한 사항은 수원시전통식생활체험관 홈페이지(www.swtf.or.kr), 수원시예절교육관(suwonyejeol.or.kr)에서 확인 할 수 있다./민경화기자 mk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