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를 비롯한 북부지역 12개 기관이 협의체를 구성, 아동학대 예방 활동을 강화하고 예방 정책을 발굴하기로 했다.
도는 22일 의정부 도북부청에서 ‘제1회 경기북부 아동보호정책협의회’를 열고 도와 교육청, 경찰청, 아동 보호·교육 관련 기관 등 12곳이 참여하는 아동보호 정책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인성교육 등 근본적으로 아동학대를 예방하는 정책을 발굴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아동복지 자원을 공유하고 아동학대 등 현안과 사회적인 이슈에도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참여기관별 역할도 분담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도는 피해 아동 보호 조치와 아동학대 예방 사업을 관리 감독하는 등 협의회의 추진 사항을 총괄하고, 교육청과 영유아인성예절교육원은 장기결석 아동 조사, 학대 예방 프로그램 개발 등을 맡기로 했다. 경찰과 아동 일시보호소, 아동보호전문기관은 아동학대 신고접수, 현장조사, 응급보호조치, 상담, 치료·교육 등을 담당한다.
가정위탁지원센터와 자립지원 전담기관, 지역아동센터,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은 위탁가정을 발굴하고 아동과 지역사회·이웃의 결연을 추진하는 등 사후 관리를 책임진다.
도에 따르면 북부지역 아동학대 건수는 지난해 657건으로, 2014년 630건보다 27건(4.3%) 증가했다.
그러나 아동보호 전문기관의 현장조사나 형사처벌 등 사후 대처가 이뤄졌을 뿐 아동학대 예방정책은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협의회 참여기관은 도를 비롯해 경기지방경찰청 제2청, 경기도교육청 북부청, 권역별 아동보호 전문기관 3곳(북부, 고양, 남양주), 경기북부 아동 일시보호소, 경기북부 가정위탁 지원센터, 자립지원 전담기관, 지역아동센터 경기북부 지원단, 영유아인성예절교육원,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경기북부지역본부 등이다.
오현숙 도 복지여성실장은 “아동학대의 악순환 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아동학대 예방에 대한 깊은 관심과 신속한 신고, 적절한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앞으로 유관기관과 간 지속적 협력을 통해 효과적인 아동보호체계를 확립해 나갈 수 있도록 다 같이 노력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의정부=박광수기자 k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