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0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동아시아 갈등 400년, 화해 실마리는?

아편전쟁과 서구열강 침략으로 중화질서 붕괴 새 국제질서 세워져
일본, 유럽의 문명사관을 수용하며 亞 식민지화로 ‘우월의식’ 가져
5280㎞ 공간 가로지르는 ‘통합적 지역사’로 각국의 근대사 조망

 

오늘날 ‘신(新)중화질서’라고 불리는 중국의 프로젝트는 200년 넘게 동아시아를 주도한 중화주의에 그 뿌리를 둔다.

단순히 지리적으로 동서남북 한가운데 있음을 뜻하던 ‘중국(中國)’ 개념이 농경민인 화하족(華夏族)의 문화적 우월의식과 결합해 ‘중화(中華)’ 개념으로 진화했고, 이는 임진왜란·병자호란 이후부터 아편전쟁이 있기까지 17~19세기 동아시아 여러 나라를 지배하는 논리로 자리 잡았다.

이렇게 해서 명·청 중국을 중심(中華)으로 하고 조선·일본·베트남을 소중심(小中華)으로 하며 류우뀨우(오끼나와)·몽골·티베트 등을 주변(四夷)으로 하는 위계질서가 성립했다.

중화질서는 중국에 대한 이웃나라들의 조공의례와 바다 출입을 제한하는 해금정책을 통해 안정적으로 유지됐지만 그 안에는 폭력적인 제국화, 정복전쟁의 성격을 담고 있다.

아편전쟁(1840~1842)과 서구열강의 침략은 중화질서가 붕괴하고 동아시아에 새로운 제국질서가 세워지는 계기가 됐다. 토지 기반의 문인사회였던 중국·한국·베트남과 달리 정치·경제적 기반이 불안정하고 바깥세상의 변화에 민감한 무사들의 사회였던 일본은 유럽의 국민국가 모델과 팽창 지향의 자본주의를 빠르게 내면화하면서 제국의 야망을 드러냈다.

타이완 침공(1874)과 류우뀨우합병(1879), 한일합병(1910) 이후 포섭과 배제의 식민지 동화정책을 펼치는 한편, 싱가포르·필리핀·사이판 등 동남아에서도 무자비한 침략을 행했다.

아시아태평양전쟁에서 일본군만큼 아시아 민중에 대해 대규모 학살과 폭행을 자행한 군대는 없었는데, 여기에는 유럽 중심의 문명사관을 수용하며 빚어진 아시아 다른 민족에 대한 멸시의식이 깔려 있다.

패전 이후 일본은 공산화된 중국을 봉쇄하기 위해 이제는 자본주의화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의 전략적 지원을 받으며 여전히 동아시아에서 벌어지는 역사논쟁과 갈등의 한 축을 담당한다.

이처럼 400년이라는 시간과 5천280㎞에 달하는 공간을 가로지르며 공존하는 동아시아 각각의 국가들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는 동아시아사를 각국사의 합이 아닌, 지역사의 관점에서 다룬 책이다. 지역사의 지향점은 일국의 역사와 현실에 발을 딛고서 세계사와 소통하되 단지 자국사의 확장만이 되지 않도록 스스로를 성찰하는 것이다.

연관과 비교의 시각으로 개별 사건들을 파악하면 침략과 상호의존의 역사를 직시해 동아시아 역내의 평화와 번영을 추구하는 역사인식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책은 지난 2010년 초판발행된 1, 2권의 합본 개정판으로, 동아시아 지역사의 상호 연관과 비교가 더욱 잘 드러나도록 중국과 동남아 등 일부 내용을 보충하고, 냉전시기 자본주의 진영에서 이뤄진 ‘여성교육과 여성노동’에 관한 글을 추가했다.

초판 당시에는 외려 국가주의를 넘어선 역사 서술이 당연한 전제로 여겨지는 분위기도 있었지만, 지금 동아시아를 둘러싼 갈등 상황 속에서 이를 주장하는 것은 보다 절실한 문제가 됐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동아시아를 떠나지 않는 갈등과 그 화해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민경화기자 mkh@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