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무임승차 횡행 방치… 용인경전철 ‘이유 있는 적자’

역사 관리자 달랑 1명 배치
부정 승차해도 단속 역부족
무임 여객 가늠조차 못해

市·운영사 합동단속 결과
월 평균 고작 4건 적발 그쳐
사실상 ‘뒷짐 행정’ 맹비난


용인시 재정난의 주범으로 꼽혔던 용인경전철이 운영 재구조화와 환승할인 도입 등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는 평가속에 지난 26일로 개통 3주년을 맞은 가운데 일부 몰지각한 시민들의 부정 무임 승차가 횡행해 또 다른 골칫거리로 떠올랐다.

더욱이 용인시와 용인경전철 운영사는 부정 승차를 뻔히 알면서도 생색내기 단속 등 사실상 뒷짐행정으로 일관하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7일 용인시와 용인경량전철㈜ 등에 따르면 사업비 1조127억원이 투입된 용인경전철은 지난 2013년 4월말 개통, 현재 용인 기흥역(분당선 환승)에서 동백지구, 용인시내를 거쳐 전대·에버랜드 역까지 18.143㎞(15개 정거장) 구간을 운행하고 있다.

개통 초기인 2013년 215만2천여명의 이용에 그치면서 ‘적자 운영’에 따른 시 재정난 악화의 고질적인 주범으로 지목됐던 용인경전철은 지난 2014년 정찬민 시장 취임 이후 환승할인 등 각종 활성화 대책을 적극 도입하고, 운영 재구조화 등을 성공적으로 진행하면서 2014년 506만7천여명, 2015년 854만3천여명으로 이용객이 대폭 늘어 안정화되고 있다.

그러나 경전철 이용객의 대폭 증가와 함께 부정 무임 승차하는 얌체 승객들이 끊이지 않고 있어 운영 정상화의 또 다른 방해 요인이 되고 있다.

더욱이 용인시와 용인경량전철㈜은 부정 승차 방지를 위해 수시 집중점검과 합동단속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지만, 적발건수는 지난 3월 한달간 6건 등 월 평균 고작 4건에 불과해 적극적인 대책은 커녕 사실상 뒷짐으로 일관한다는 비난을 자초하고 있다.

게다가 부정 승차가 횡행하면서 ‘손실액’이 겹겹이 쌓이고 있지만, 시와 운영사는 정확한 부정 승차 인원수나 손실액 규모조차 가늠하지 못하고 있어 ‘움직이는 무료 전망용 롤러코스터’란 웃지 못할 비아냥마저 나오는 실정이다.

실제 지난 26일과 27일 취재진이 강남대역과 용인시청역, 전대역 등의 개찰구 주변을 관찰한 결과, 개찰구 직원이 없는 틈을 이용해 부정 승차하는 이용객들을 수시로 발견할 수 있었다.

또 부정 승차 시 소리를 내며 출입을 막는 시스템과 감시용 폐쇄회로(CC)TV가 있긴 했지만, 자동 무인 운전 방식으로 역사 운영과 시설 유지보수에 최소 인력만 배치하다 보니 역을 관리하는 직원은 1명에 불과해 인지조차 어려워 단속은 역부족이었다.

한 이용객은 “지하철과 달리 역무원이 거의 없다시피 하니 부정 승차하는 사람들이 유난히 많은 것 같기는 하다”며 “물론 부정 승차를 하지 말아야 하지만, 정상적으로 돈내고 타는 사람들을 위해서라도 부정 승차 방지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용인경량전철㈜ 관계자는 “여러 역사를 1명의 관리자가 맡는 타 경전철과 달리 역사당 1명의 관리자를 두는 것은 용인경전철이 유일하며, 경전철의 운전방식과 운영 여건 상 1명 이상의 관리자를 두기가 쉽지 않다”며 “앞으로 집중 단속과 함께 부정 승차 계도활동 등도 수시로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영재·김장선기자 kjs76@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