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경기·인천 장바구니 물가 슬금슬금 올랐다

5년간 연평균 1.3%·1.4% 상승
국산담배 등 100여개 품목 올라

경기·인천지역의 소비자가 느끼는 장바구니 물가가 최근 5년간 연평균 1.3%, 1.4% 각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경인지방통계청의 ‘최근 5년간(2011년~2015년) 경기도·인천시 생활물가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도 생활물가지수는 106.85(2010=100)로 5년 전인 2011년에 비해 2.7% 상승하며, 1.3%의 연 평균 등락률을 기록했다.

연도별 전년비 생활물가지수 상승 폭은 2011년이 4.0%로 가장 높았으며, 2015년은 오히려 -0.2%로 하락했다.

2011년 대비 지난해에는 식료품·비주류음료, 주류·담배, 음식·숙박, 보건, 교통, 교육 등 생활물가지수 품목 142개 중 98개 품목이 상승했고 41개 품목은 하락했다. 남은 3개 품목은 변동이 없었다.

지난해 2천원 오른 내수 담배가격의 영향으로 국산 담배(83.7%)가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다. 미역(45.7%), 쵸코파이(38.3%), 하수도료(34.1%)도 30% 이상 올랐다. 반면 정부지원 정책으로 보육시설이용료(-46.0%), 학교급식비(-43.9%), 유치원납입금(-24.4%) 등은 큰 폭으로 하락했다.

한편, 지난해 인천시 생활물가지수는 107.25(2010=100)로 2011년에 비해 3.5% 상승, 연평균 1.4%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연도별 전년비 생활물가지수 상승 폭은 경기도와 마찬가지로 2011년이 3.6%로 가장 컸고, 2015년이 0.2%로 가장 낮은 상승폭을 보였다.

2011년에 비해 지난해에는 생활물가지수 142개 품목 중 40% 이상 오른 4개를 포함해 100개 품목이 상승했다. 하락한 품목은 39개였고, 나머지 3개 품목은 변동 없었다.

인천지역도 담배값 상승으로 국산 담배(83.7%) 상승이 가장 두드러졌으며 하수도료(57.3%), 쵸코파이(54.2%), 미역(50.5%)도 50% 이상의 상승 폭을 기록했다.

이에 반해 보육시설이용료(-38.9%)와 유치원납입금(-31.2%), 배추(-38.8%), 무(-35.6%), 참외(-35.3%)는 30% 이상의 하락세를 보였다.

/김장선기자 kjs76@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