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가 쓰레기소각시설을 추가 설치해 인근 서울 강서구와 경기도 안산시가 함께 이용하는 자원회수시설(소각로) 광역화 증설을 본격 추진한다.
부천시는 이들 지자체와 ‘부천 자원회수시설(소각로) 광역화 증설 사업 기본 협약’을 맺고 2020년 12월까지 오정구 대장동 소각장 건물에 하루 300t을 처리하는 소각로 1기를 증설키로 했다고 10일 밝혔다.
소각로는 밀폐식 설계와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감시설 고도화 등 신기술을 적용해 친환경적인 시설로 건립된다. 소각로는 별도의 건축물을 짓지 않고 현 부천자원순환센터(오정구 대장동)내에 설치된다. 강서구와 안산시는 718억원(국·도비 포함)으로 예상되는 소각로 추가 설치비 외에 쓰레기 양에 따라 운영비를 내고 기여금·주민지원기금 명목으로 연간 운영비의 20%를 추가로 부담한다.
강서구는 현재 자체 소각시설이 없어 서울의 다른 자치단체의 소각로를 공동으로 이용하고 있고, 안산시는 200t 규모의 시설이 있으나 부족해 연간 70∼80t 쓰레기를 수도권매립지로 보내고 있다.
구성림 시 청소과장은 “2018년 이후 수도권매립지 생활쓰레기 반입 금지에 대비하고 사용 연한이 경과한 현 소각로 보수시 대체 소각로 확보 등을 위해 소각 시설을 추가로 세워야 하는 실정”이라며 “현재 자체 처리 능력이 부족해 하루 51t의 쓰레기를 수도권 매립지로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2020년이 되면 하루 약 100t의 쓰레기를 처리할 수 없게 돼 소각로를 증설해야 되기 때문에 300t 규모의 소각로를 1기를 추가로 세워 여유분을 강서구, 안산시와 공동으로 쓰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부천 시민들 사이에서는 쓰레기 수송 차량 증가로 인한 교통 정체와 소음, 대기오염 등을 거론하며 다른 지자체 쓰레기 소각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어 추진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부천=김용권기자 yk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