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도시 용인’ 말뿐?
용인초등학교 학생들과 보행자들이 학교 후문과 뒷편 도로를 통학로로 이용하면서 안전 확보가 시급한 문제로 떠올랐지만 용인시가 지역경제 활성화와 주민들의 주차공간 확보 등을 이유로 사실상 외면해 ‘말뿐인 안전도시’라는 비난이 일고 있다.
22일 용인시와 용인초등학교 등에 따르면 용인 처인구 김량장동에 있는 용인초등학교의 26개 학급 620명의 학생들은 차량 또는 도보를 통해 학교 정문과 후문, 뒷편 도로를 이용해 등교하고 있다.
현재 학교 정문 통학로는 스쿨존(어린이보호구역) 및 불법주정차 특별관리구역으로 지정돼 인도와 보행자 보호 안전휀스도 설치돼 있지만, 학교 후문과 뒷편은 어린이보호구역 지정은 물론 인도조차 설치돼 있지 않아 학생과 보행자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는 상태다.
이에 따라 학교와 학부모들은 정문을 제외한 통행로의 일방통행 또는 스쿨존 지정을 꾸준히 건의했지만 스쿨존 지정과 학교 뒷편 통학로 안전봉 설치 등이 논의도중 주차공간 부족 등의 반대민원에 다시 보류되는 등 위험이 여전한 실정이다.
특히 학교 인근 중앙시장에서 정기 5일장(매월 5·10·15·20·25·30일)이 들어서는 날이면 시장 주차장에서 소화하지 못한 차량들이 학교 인근 통행로를 모두 점령하다시피 하고 있지만 시와 처인구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주민 편의 등을 내세우며 사실상 묵인해 비난을 자초하고 있다.
학부모 A씨는 “상식적으로 생명과 직결된 안전, 특히 학교 주변 학생들의 안전은 다른 어떤 것보다 중요하다”며 “아이들의 안전이 달린 만큼 스쿨존 지정이나 정문처럼 인도 설치 등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토로했다.
가재열 용인초 교장도 “지난해 학교 뒷편 도로를 스쿨존으로 지정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인근 주민들의 주차문제 등을 이유로 무산됐다”며 “안전한 학교 통행로 확보는 빠른 시일내 해결돼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처인구 관계자는 “안전과 교통통행 2가지 측면을 고려, 교통통행이 보다 우선시된 거 같다”며 “학교 정문과 후문 등은 스쿨존 및 주정차 금지구역인 만큼 불법주차 등에 적극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