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성장하는 관광산업이 지역경제에 커다란 도움을 준다. 지역특성을 살린 관광산업의 개발이 절실하다. 지리적 장점과 자원이 풍부한 경인지역의 특색 있는 관광산업개발에 전력해 가야 할 때이다. 지난해 고양시를 방문한 관광객은 57만8천명이며 연간 매출액은 7조2천억 원에 이르고 있다. 새로운 관광도시로서의 위상을 재정립하여 양적 증가와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 관광부문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이다. 전체 26.5G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것으로 국가별 관광객 비율은 중국이 35%로 가장 많았으며 일본이 25%이고, 미국, 싱가포르, 독일 순으로 나타났다.
고양국제꽃박람회가 열리는 5월과 고양호수예술축제가 열리는 10월에 관광객이 가장 많았다. 중요한 지역의 이벤트가 해외관광객유치를 끌어드리고 있다. 관광객은 메르스 한파로 6월과 7월에 급감하다가 8월부터 다시 회복세를 나타냈다. 중국 관광객은 2월에, 일본인은 8월에, 미국인은 12월에 각각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특히 싱가포르와 독일의 방한관광객이 전국대비 상대적으로 높았다. 독일 관광객은 자동차 테스팅 전시회가 있었던 3월에 약 4천800여 명이 넘었다. 해외관광객유치를 위한 지역별 특별이벤트를 자주 개최하여야 한다.
각 구별 현황을 보면 김치스쿨과 동황면세점 등이 소재한 덕양구는 외국인 관광객의 26%가 방문했으며 중국관광객 비율이 가장 많았다. 일산동구는 34%가 방문했으며 장항2동에 관광객이 집중돼 관광객 대부분이 호수공원 근처에 모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역여건을 살린 창조적 프로그램개발이 절실한 때이다. 일산서구는 40%의 외국인 관광객이 찾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는 원마운트와 아쿠아플라넷 관광명소와 킨텍스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카운팅 포인트가 없던 주요 거리를 측정할 수 있었는데 라페스타는 연간 3만 명, 웨스턴돔은 2만8천명의 방문객을 기록했다. 킨텍스와 엠블호텔 고양은 증감 패턴이 매우 유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매출의 22% 이상이 한식, 퓨전음식, 분식 등 음식점 매출이었다. 전통음식과 새로운 먹거리 개발이 필요한 이유이다. 이번 분석을 통해 과학적 근거에 의한 관광객 맞춤형 상품을 개발해가야 할 때이다. 중국과 일본관광객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확충할 것과 먹거리 매출이 높은 일산동구를 중심으로 맛집투어를, 라페스타와 웨스턴돔을 중심으로 뷰티상품 등 차별화된 관광 상품을 개발해 가야한다. 서해안을 중심으로 교통과 접근성이 높고 지역의 다양한 특성을 부각시켜서 관광산업개발에 적극 대처해하기 바란다. 특색 있는 관광개발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