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경지역 주민 위급상황 피신
21개 시설중 일부 전기끊긴 상태
오랜 방치로 대피시설 기능 의문
잡풀 무성 입구 찾기도 어려워
타 지역선 지자체서 전기료 부담
김포는 주민에 전가 미납·단전초래
연평도 포격 사건과 같은 위급 상황 발생시 김포 접경지역 주민들의 안전한 대피와 생활을 위해 100억원이 넘는 예산을 들여 설치한 주민대피시설들이 관리주체인 김포시의 ‘제멋대로식 지침’에 의해 관리가 엉망인 것으로 드러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8일 김포시와 주민 등에 따르면 지난 2010년 북의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김포시 관내 접경지역에는 기존 4개의 대피소 외에 추가로 정부, 경기도, 시가 120억여원을 들여 17개의 대피소를 설치, 현재 21개의 대피시설이 있으며 시는 각 읍·면사무소에 관리 책임을 맡기고 있다.
하지만 이중 일부 대피소의 경우 전기가 끊기면서 오랜시간 방치돼 내부 집기는 사용하기 힘들 정도로 훼손됐으며 내부는 습기와 곰팡이가 가득해 숨쉬기 벅찰 정도의 악취까지 풍기고 있는 실정이다.
또 대피소 입구는 잡풀들이 무성하게 자란 상태로 위급 상황시 주민들의 신속한 대피가 가능할지 의문을 자아낼 지경이다.
더욱이 요즘 같은 무더위나 겨울철 한파를 피할 수 있는 냉·난방기는커녕 외부와의 유일한 연결 수단이 될 수 있는 통신시설조차 갖춰져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대피소로서의 역할 마저 의심케 하고 있다.
특히 관할 김포시는 평시에는 대피소가 주민들이 편의시설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수익자부담 원칙’을 적용, 전기·수도요금 등 관리비를 주민들에게 전가, 이에 부담을 느낀 마을 5곳은 전기료를 미납해 장기간 전기가 끊긴 상황이다.
반면 파주, 고양 등 경기도내 주민대피시설이 있는 지자체들은 관리비용을 전부 지자체가 부담하고 있어 김포시의 ‘아전인수격 지침’은 비난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실제 월곶면 포내1리 대피소는 장기간 전기가 들어오지 않았는지 책상과 TV 등은 사용하기 힘든 지경이었으며 에어컨과 온풍기도 없는 내부는 습기로 인해 다량의 곰팡이가 피어 악취가 진동하고 있었다.
또 지난 2012년 지어진 조강1리 대피소 입구는 무성하게 자란 풀들이 막고 있어 포탄이 날아오는 긴박한 상황에서 입구를 찾기는 쉽지 않아 보였다.
주민 황모(66)씨는 “대피소가 만들어진 뒤 단 한번도 사용한 적이 없는데 왜 우리더러 전기요금을 내라고 하는지 참 한심한 발상이다”며 “1주일에 한번씩 점검을 한다고 하지만 도대체 뭘 보고 가는지 웃음만 나온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대피소를 읍·면사무소가 관리하는 것은 맞지만 전기요금 등을 지자체가 내야 한다는 지침이 없어 내부적으로 주민들이 내는 것이 맞다는 판단을 했다”며 “지난 1월 한 주민이 김포를 방문한 박인용 국민안전처 장관에게 이런 민원을 제기했으나 현재 답변이 없는 상태며 이후 직접 답변을 요구하진 않았다”고 설명했다.
/김포=천용남기자 cyn5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