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해 상으로 북한 주민 3명이 귀순한 데 이어 연평도에서도 북한 주민이 바다에서 표류하다가 구조됐다.
24일 연평도 어민들에 따르면 오전 7시 10분쯤 인천시 옹진군 소연평도 서쪽 해상에서 북한 주민 A(27)씨가 스티로폼을 잡고 표류하는 것을 군 관측병이 발견했다.
때마침 이 해역을 지나던 어선도 A씨를 발견하고 약 5분 만인 7시 15분쯤 A씨를 구조했다.
어선 선장 이모씨는 “아침에 어구를 설치하러 가는데 사람이 스티로폼을 잡고 표류해 끌어올렸다”며 “나중에 몇 마디 할 때 북한 사투리를 쓰는 것을 보고 북한 사람인 줄 알게 됐다”고 말했다.
기진맥진한 표정의 A씨는 표류 당시 팬티만 입고 있었다.
선장은 어선을 몰고 연평도로 귀항해 이 남성을 군 당국에 인계했다.
보안당국은 A씨가 스스로 탈북했는지, 해양조난사고를 당한 것인지를 조사하며 귀순 의사를 확인하고 있다.
보안당국 관계자는 “북한 주민이 오늘 오전 구조된 사실은 있지만 구체적 내용은 보안 사항이어서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군 관계자는 “연평도와 북한은 가까운 곳은 10여㎞ 떨어져 있어 조류를 타고 오는 것도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며 “귀순 여부는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밝혔다.
앞서 7일에는 북한 주민 3명이 어선을 타고 인천 해역을 지나다가 평택해경에 발견됐다.
근래 수년간 서해에서는 북한 주민의 귀순이 이어져 왔다.
2011년 2월 북한 주민 31명이 어선을 타고 연평도 해상으로 남하했다가 이 중 4명이 귀순하고 27명은 북한으로 돌아가는 등 2010년 이후 약 5년간 군사분계선(MDL)과 북방한계선(NLL)을 넘어온 북한 귀순자는 모두 65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육상 군사분계선을 넘어온 탈북자는 4명, 남북출입국사무소(CIQ)로 귀순한 사람은 2명이고 나머지 59명은 동해·서해안이나 해상으로 귀순했다.
해상 귀순 중 약 40명은 서해 경로를 이용한 것으로 추정됐다.
/인천=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