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규
우리 집 뒷마당 우물 곁에 흰꽃씀바귀 뿌리째 삶아 말리는 무쇠솥 하나 걸려 있다
우리 집 마당에만 초가을까지 흰꽃씀바귀 지천으로 피어난다
지천이여, 지천至賤이 곧 비방 중의 비방이다
- 정진규 시집 ‘무작정’
당당함을 넘어 당돌할 만큼 튀어야만 겨우 주목받는 세태가 되었다. 주목을 받아야 호감도 사고 인정도 받게 되는 것이다. 돈도 명예도 어쩌면 사랑을 얻는 것까지도 이 처세술의 유무에 달려있는지도 모른다. 그런데 특별할 것이 없는 보통 사람이 그렇게 주목을 받기 위해서는 얼마간 ‘나’의 정체성이나 ‘나’라는 본질에 스스로 상처를 내야만 가능한 일이다. 어떻게 보면 그것은 지천으로 피어있는 흰꽃들 중에 어느 하나가 주목을 받기 위해 제 몸을 붉은빛으로 바꾸려는 무모한 시도를 하는 것과도 같다. 시인은 지천으로 피어나고 있는 흰꽃씀바귀들을 심안(心眼)에 비추어보면서 ‘지천至賤’의 지혜를 우리에게 던진다. 오롯한 ‘나’를 꿋꿋이 지켜내면서도 천박하게 튀지 않고 ‘나’의 형태와 색채를 겸손하고 조화롭게 드러내는 일. ‘지천至賤’은 분명 이 세태를 건너가는 특효의 비방(秘方)일 것이다. /김명철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