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된 가정경제를 위해서는 부채가 없어야한다. 날로 늘어나는 가계부채는 가정파탄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수입에 걸 맞는 가정생활이 되지 않기 때문에 부채를 얻어 쓴다. 근검절약하면서 어려운 경제여건을 극복해가는 일이 중요하다. 서민들의 가계부채 해결을 위한 정부의 각별한 대책이 절실하다. 서민지원 특별기금 조성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경기지역의 경우 가계부채가 3개월 연속 2조원 이상의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어려워진 가정경제의 실체이다. 금리가 비싼 제2·3금융권의 가계부채가 늘고 있어 서민부담이 가중된다. 일반서민들의 부채가 질적으로도 악화되고 있다.
최근 한국은행 경기본부의 ‘2016년 7월중 경기지역 금융기관 여수신 동향’에 의하면 도내 금융기관의 7월중 여신이 3조7천47억 원 늘어 지난달 2조6천486억 원보다 39.9% 늘어났다. 금융기관별 여신은 예금은행 2조6천338억 원과 비은행금융기관 1조709억 원으로 전월 대비 가게부채가 증가했다. 예금은행의 경우 부가가치세 납부수요 등으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 대출이 크게 늘면서 전체 기업대출은 1조4천501억 원이 전월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가계대출은 1조2천308억 원으로 정부정책에 부응에 따른 대출심사 강화로 감소되었다. 이에 따라서 서민들은 금리가 비싼 제2·3 금융권에서부채를 얻어 쓰고 있다. 이 또한 서민경제를 악화시켜가는 요인이다.
수입은 늘어나지 않는데 생활비 등으로 인한 지출이 증가되어 결국 빚을 지게 된다. 비은행금융기관의 가계대출은 증가하여 7천853억 원에 이르고 있다. 이는 비교적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제1금융권인 예금은행에서 밀려난 가정에서 제2·3금융권인 비은행금융기관에서 대출비중이 늘어나 서민경제를 더욱 어렵게 만들어간다. 경기지역의 가계대출의 질이 악화되고 있는 현실을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다. 이에 대한 지자체와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가 절실하다.
실제 경기지역 비은행금융기관의 1~7월 여신 증가액은 4조1천639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배 이상 늘어났다. 가게대출은 지난 5월 2조 원대를 진입한 후 3개월 연속 2조원 이상의 높은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가계부채의 질과 양 모두 문제가 심각하다. 도민들의 비 은행 가계대출 규모는 은행에 비해 적지만 서민을 상대로 한 것이 많아 부실화할 경우 금융시장에 상당한 파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서민들의 악화된 가정경제활성화를 위한 당국의 과감한 대책마련을 촉구한다. 경기지역의 악화된 가계부채 해결방안이 시급하다. 이에 대한 적극적인 서민지원 대책을 세워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