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가 오는 23일 서울 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리는 총파업에 10만 명이 결집, 은행업무가 사실상 마비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금융노조는 20일 서울 중구 노조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총파업에 노조원 대부분이 참여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문호 금융노조 위원장은 “사측이나 정부가 생각하는 것보다 노조원들이 파업에 대한 열의가 크다”며 “정부나 사측은 3만∼4만 명 정도를 예상하지만, 조합원 대부분이 이번 파업에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노조는 2000년 7월과 2014년 9월 관치금융 반대를 기치로 내걸고 두 차례 파업을 진행했지만 파업 참여율은 높지 않았다. 특히 2014년 파업 때는 참가율이 10% 수준에 불과했다.
그러나 2014년 파업이 금융공기업 정상화, 낙하산 인사문제 등을 주요 화두로 내건 반면, 이번에는 시중 은행원들의 생계문제인 월급 체계와 직접 연관됐다는 점에서 파업 동력에서 차이가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김 위원장은 “예전에 비정규직이었던 분들이 전부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되면서 노조원이 됐다. 파업의 강도는 예전보다 훨씬 강할 것이며 세계 노동운동 사상 단일노조가 세운 파업 기록 중 최대가 될 것”이라며 “관치금융과 성과연봉제를 막기 위해서는 2차, 3차 파업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금융노조가 이처럼 총파업에 나서는 이유는 성과연봉제 조기 도입과 저성과자 해고, 관치금융 등에 반대하기 때문이다.
금융노조는 “정부가 노사관계에 불법 개입해 지난 수십 년간 이어져 온 정상적인 산별 노사관계를 하루아침에 파탄냈기 때문에 총파업에 나선다”며 “정부의 개입은 금융산업의 안정성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은행들은 총파업에 대비해 비상체제를 가동하며 고객들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KB국민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농협은행, KEB하나은행 등은 각각 ‘컨틴전시 플랜’을 마련, 파업 때 생길지 모를 고객 불편에 대응할 예정이다.
/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