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호남, 빈-부, 노-소 등 국민들 간의 갈등으로 나라꼴이 말이 아니다. 여기에 더해 국민들 사이를 분열시키는 것이 정치인들이다. 여-야, 또는 좌-우로 구분시켜 국민들 간에, 심지어는 친구나 가족, 부자지간에도 갈등을 빚고 있는 것이 우리 현실이다. 이번 추석에도 많은 국민들이 경험했을 터이다. 현 정권에 비판적인 가족이 있는가하면 이를 감싸는 식구들도 있었을 것이다. 이것이 말다툼으로 번져 훈훈해야할 명절 분위기가 흉흉해지기도 한다. 그래서 어떤 집에서는 아예 불문율처럼 정치얘기를 피한다.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관련 뉴스가 나오면 채널을 돌려버린다는 가정도 있다.
이는 친구 간에도 마찬가지다. 오랜만에 만난 동창들의 술자리가 정치문제로 인해 싸움으로 번지고 우정에도 금이 가는 경우가 잦다. 그래서 처음부터 정치얘기를 하지말자는 다짐으로 모임을 시작한다는 웃지 못 할 이야기도 들린다. 정치색은 우리사회에서 참 예민한 문제다. 그런데 경기도 행정1부지사가 이사장인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이 정규직 직원 채용과정에서 지원자에게 ‘좌파냐? 우파냐?’라는 질문을 했다. 진흥원 산하 ‘지무크(G-MOOC)’직원을 채용하면서 면접관이 정치 성향을 질의한 것이다. 참 어이가 없다. 무슨 의도로 그런 질문을 했을까?
이번에 물의 빚은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G-MOOC는 도의 각종 온라인 교육을 통합해 도민의 평생학습, 융합행정, 취약계층 학습 등을 지원하는 플랫폼으로서 생활취미, 외국어, 자격증 등과 같은 평생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진흥원은 G-MOOC 추진단 구성을 위해 지난 6~7월 2차 정규직 직원 채용 절차를 진행했다. 이때 한 면접관(대학교수)이 지원자에게 정치성향을 질문한 것이다. 지원자는 ‘해당 질의가 직무와 연관성이 없다’고 판단, 국가인권위원회에 진흥원을 제소했다.(본보 21일자 1면)
그런데 도 산하기관에서 이런 일이 또 있었다. 경기도콘텐츠진흥원도 지난달 25~29일 서류 전형에 합격한 지원자들의 인성검사에 정치 성향을 가늠할 수 있는 질문들을 다수 포함시켜 물의를 빚은 바 있단다. 더욱이 이들 기관은 남경필 경기도지사의 역점 사업을 추진 중인 곳이다. 하지만 지금 남 지사는 ‘경기연정’을 추진하면서 정적이었던 야당인사들을 도정에 적극 참여시키고 있지 않은가? 따라서 이런 짓은 과잉충성이다. 오히려 남 지사를 깎아내리는 일이다. 산하기관에도 변화가 있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