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설]인천의 항공산업 육성방안이 성공하려면

인천하면 먼저 떠오르는 게 공항이다. 인천은 그동안 개항과 더불어 대한민국의 관문이자 서울의 관문역할을 해왔다. 인천국제공항은 국제공항협의회(ACI)로부터 세계 최초로 6년 연속 ‘세계 최고 공항상’도 받았다. 세계 여러나라를 여행해봐도 인천공항만큼 서비스와 친절도, 신속성이 뛰어난 곳은 없을 정도다. 공항은 그 나라의 문화와 서비스 그리고 기술력 등을 한눈에 파악해볼 수 있는 잣대이다. 그만큼 국가브랜드나 이미지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인천시가 이에 만족하지 않고 세계적인 항공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한 항공산업육성 방안을 마련했다. 이번 추진계획에는 ‘항공도시 인천’을 비전으로 하여 항공 혁신도시 구축, 미래형 항공산업 지역 혁신 클러스터 육성, 신규고용 8만5천명 창출과 글로벌 항공부품 기업 100개사 육성 등 3대 정책 과제를 담았다. 이와 함께 인천도시공사가 지분을 갖고 있는 영종도 땅 60만7천㎡를 현물로 출자해 인천공항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3% 지분확보에도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백령도 신공항 건설사업을 적극 지원하고, 항공분야 신사업 개발을 위해 무인항공기(드론) 산업 활성화도 추진한다.

그러나 이 정책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예산확보가 관건이다. 국토의 균형발전 차원에서 인천에 대한 정부의 지원을 크게 기대하기 어려운데다 자체 예산과 인력부족이 걸림돌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사업이 종료되는 2020년까지는 시간도 촉박하다. 중앙부처와 인천국제공항공사와의 긴밀한 협조가 절실하게 필요한 이유다. 향후 4년 여 동안 소요될 예산은 항공산업 단지 조성 591억5천만 원, 신사업 발굴 육성 1천344억2천500만 원 등 모두 1천963억8천200만 원이다. 인천시의 한해 예산은 8조 원이 넘지만 대부분 경직성 경비가 많고 자체 사업에 쓸 수 있는 돈은 5% 미만인 4천억 원도 채 안 된다. 빚이 많이 줄었다지만 지난해 말 기준으로 모두 11조2천556억 원에 달한다.

동남권 신공항이 무산된 이후 이제 정부도 나서 나라의 관문인 인천공항을 진정한 동북아의 허브공항으로 육성할 책임이 있다. 정부는 국토균형발전을 이유로 MRO(항공기제조 및 정비)산업의 육성계획에서 인천을 더 이상 배제해서는 안 된다. 인천공항을 육성하는 일은 인천만을 위한 일이 아니라 국가 발전의 원동력을 키운다는 발상의 전환을 해야 한다. 인천의 항공산업 육성방안이 성공하려면 정부의 전폭적인 관심과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