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주도의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 건의안 통과로 정국이 경색되고 있다. 여당은 국정감사를 보이콧하며 정치가 올스톱의 위기에 놓였다. 당연히 민생은 제쳐놓게 됐다. 북한은 연일 미사일을 쏘아대 북핵에 대한 우려는 커진다. 게다가 경주지방을 비롯한 영남권의 지진으로 나라는 더욱 어수선하다. 대통령이 비상시국이라고 언급하지 않더라도 정말 비상시국에 가깝다. 이러한 때 여야가 힘을 합쳐도 이 난국을 극복하기 어려운 마당에 여야가 힘겨루기나 하고 있어 답답하다. 누가 이기는 싸움이 됐든 국민들만 피해를 볼 것이 뻔하다. 거대 야당의 오만이든, 대통령의 고집이든 둘 바 똑같다.
한쪽에서는 또 파업 타령이다. 현대차 노조는 26일 하루 1조와 2조 근무자 모두 전면파업을 벌였다. 노조의 전면파업은 2004년 이후 12년 만으로 전 조합원이 출근하지 않고 부서별로 단합대회를 열었고 이에 따라 울산공장과 전주·아산공장 생산라인의 가동이 이날 하루 모두 중단됐다. 이에 따른 생산 차질 규모가 10만1천400여 대, 2조2천300여 억원에 이른다고 회사 측은 추산했다. 게다가 금융노조와 함께 총파업을 선언한 전국철도노동조합이 27일부터, 곧바로 보건의료노조가 28일부터 파업에 들어간다. 국민들을 볼모로 철도와 지하철의 발을 묶고 다급한 환자들의 병원진료를 마비시켜 혼란을 가중시키겠다는 파업이다.
국민들은 경제난에 이같은 나라의 혼란이 겹치면서 가슴이 답답하다못해 울분마저 치솟는다. 지난 23일 은행권의 총파업이 시민들의 지지를 받지 못한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연봉이 국내 모든 업종에서 최고 수준이고 근로조건도 월등한 은행권 ‘귀족노조’의 기득권을 지키겠다는 전혀 설득력 없는 파업이어서 국민들의 공감을 얻지 못한 것이다. 현대차노조도 마찬가지다. 지난 2014년 기준 평균 임금은 9천700만원이다. 폭스바겐이나 토요타보다 더 높다고 한다.
여야의 정쟁, 노조의 파업 등은 그렇지 않아도 민생에 고통을 겪고 있는 국민들의 눈에는 자신들의 밥그릇만 챙기겠다는 이들의 집단이기주의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더 이상 국민의 지지를 받지 못할 행동들이다. 안보가 위협받고, 지진의 위험이 상존하며, 국민들은 경제가 어렵다고 아우성을 치면 여야도 힘을 합쳐 난국을 타개해나가는 게 상식이다. 나라가 더 이상 혼란으로 점철돼서는 안 된다. 정치권이나 귀족노조들 모두 정신차리지 않으면 파국만이 기다리고 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