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의 무더위가 어느덧 가시고, 아침저녁으로 부는 상쾌한 바람과 습하지 않은 날씨, 그리고 한껏 높아 보이는 하늘이 인상적인 가을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가을은 천고마비의 계절, 독서의 계절이라는 찬사를 듣기도 하지만, 건조한 날씨와 큰 일교차로 인해 건강에 위협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여름동안 무더위에 힘들다가 선선한 가을 날씨로 변하면서 몸이 좀 더 가볍고 의욕이 생기겠지만, 어떤 사람들은 여름의 더위로 인해 허약해진 기운이 잘 회복되지 않아 도리어 가을에 유행성 질환에 걸려 고생하거나 오전과 오후의 큰 일교차로 인해 호흡기 질환 등에 이환될 수도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가을은 건조한 기운이 가장 왕성한 시기이므로 사람의 피부도 건조해지면서 피부가 가려워지거나, 원래 가지고 있던 아토피나 피부질환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평소보다 물을 자주 마셔 피부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해주고, 씻고 난 이후에는 피부의 습기를 지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가을은 수렴의 계절입니다. 여름철에 만개했던 꽃들이 지고, 어느새 과실이 열리기도 하고, 나무는 더욱 단단해져 갑니다. 사람도 수렴하는 기운에 영향을 받습니다. 특히 사람의 마음이 움츠러 들게 되면, 가을에 우울감이나 공허감으로 변질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평소의 조급함을 내려놓을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하고, 때로 가벼운 산책이나 조깅 등으로 몸을 움직여줘서 마음을 편하게 해줄 수 있어야 합니다.
사상의학적으로 볼 때 체격이 크고, 고집이 센 편인 태음인은 평소 폐기능이 약하기 때문에 낮과 밤의 기온차가 심한 가을 환절기에 갑작스럽게 찬 바람을 맞게 되면 감기, 알러지 비염, 천식 등의 증상이 생기기 쉽습니다. 체질이 태음인인 사람들은 평소 유산소 운동을 통해 선천적으로 부족한 폐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감기에 잘 걸리는 사람은 방안에 습도를 조절하고, 잘 때 목 부위를 따뜻하게 감싸는 습관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체격이 작고, 섬세하고 예민한 성격의 소음인은 가을에 갑작스럽게 찬 기운이 돌게 되면 면역기능이 쉽게 떨어지게 되어 감기에 걸리기 쉽습니다. 특히 속이 냉한 소음인은 가을철 환절기 기온변화에 민감한 편이므로 아침·저녁 쌀쌀한 날씨에 체온이 떨어지지 않도록 가디건 등을 준비해서 일교차의 변화에 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체격이 크진 않지만 상체가 상대적으로 발달하고, 성격이 호탕한 소양인들은 가을이 되면 몸 안의 열이 감소되어 편안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과로, 스트레스, 정서적 긴장 상태에서 외부의 찬바람을 맞게 되면 감기에 걸리기 쉽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마음을 안정시키고 화와 열을 내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겠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 중 가장 적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태양인은 기의 발산이 많고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을은 다른 계절보다 기가 위로 오르는 요건이 적기 때문에 태양인의 마음이 안정된 데다가, 태양인은 다른 체질에 비해 폐기능이 강하기 때문에 감기에 걸리게 될 확률이 적습니다. 그러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허열이 생겨 소변이 잘 나가지 않게 될 수 있어 대인관계를 원만히 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자기 조절은 반드시 필요할 것입니다. 하체를 단련하기 위해 등산, 산책 등을 권장하며, 항상 마음의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