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사망원인 1위는 여전히 ‘암’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인 사망자 수는 27만5천895명으로, 전년보다 3.1%(8천203명) 늘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83년 이래 최대치다.
인구 10만명당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조사망률은 541.5명으로, 2006년(495.6명) 이후 수년째 증가세다.
한국인을 사망에 이르게 하는 10대 사인 가운데 부동의 1위는 악성신생물(암)로, 관련 통계 집계 이후 33년째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7만6천855명이 각종 암으로 목숨을 잃었다.
인구 10만명 당 암 사망률은 150.8명으로, 2위인 심장질환(55.6명)의 3배 수준이었다.
암 종류별로는 폐암 사망률이 34.1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간암 22.2명, 위암 16.7명, 대장암 16.4명, 췌장암 10.7명 순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는 30대는 위암, 40~50대는 간암, 60세 이상은 폐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가장 높았다.
전체 사망원인 3위는 뇌혈관 질환으로 사망률은 48.0명이었다.
폐렴은 작년 5위에서 4위로 올라섰다.
10년 전인 2005년에는 사망률 8.5명으로 10위에 불과했던 폐렴은 2008년 9위(11.1명), 2010년 6위(14.9명), 지난해 4위(28.9명)로 해를 거듭할수록 사망률이 높아지고 있다.
고의적 자해(자살)는 사망률 26.5명으로 5위를 차지했다.
한편, 연령대별로는 10대부터 30대까지의 사망원인 1위는 자살, 40세 이후는 암이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자살로 숨진 사망자 수는 1만3천513명으로 하루 평균 37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집계됐다.
/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