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을 기준으로 조달청에 등록된 경기도내 기업수는 7만661개에 이른다. 조달금액은 3조8천억원으로 경기도가 서울에 이어 전국 2위 규모다. 게다가 계약 건수는 15만4천347건으로 서울(9만685건)보다 70% 가량이나 많다. 지방조달청이 있는 인천(3천921건)보다는 거의 5배다. 경기지역에 소재한 공공기관 수도 8천380개로 서울보다 훨씬 많다. 경기지방조달청을 반드시 신설해야 하는 이유다. 수 년 전부터 신설 목소리가 높았지만 공무원 정원을 틀어쥐고 있는 행정자치부가 공무원 조직의 비대화와 향후 예측이 어려워 신설을 반대해왔다. 그런데 이번엔 좀 다르다. 국정감사에서 국회의원들이 나서고 조달청도 적극적이기 때문이다.
경기도내 중소기업 단체들은 지난 2008년부터 조달청 신설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중소기업중앙회 경기본부는 지난 7월 8일 홍윤식 행자부 장관과의 간담회에서도 경기지방조달청 신설을 주장했고, 9월에는 경기도와 경기도의회에도 신설을 촉구했다. 여야 국회의원들과 경기도의회도 가세하면서 경기지방조달청 신설에 힘을 보태고 있다. 박광온 의원은 지난 6일 조달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경기조달청이 신설되면 수준 높은 조달서비스를 제공해 경기지역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확보를 통해 일자리 창출에도 이바지할 것”이라고 경기조달청 신설을 요구했다. 정양호 조달청장도 이에 적극 동감했다.
현재 경기도 지역의 조달업무는 서울지방조달청과 인천지방조달청 등 2곳에서 한다. 경기북부와 동남부 16개 시군은 서울지방조달청에서, 경기 서남부 및 북부 일부 14개 시군은 인천지방조달청에서 담당하고 있다. 조달업무 처리를 위해 비교적 먼 거리에 있는 서울 인천을 기업들이 오가느라 시간과 비용을 소비하고 있는 셈이다. 경기도내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경기지방조달청 신설에 관심을 보이는 이유다. 이들은 사업을 확대하는 데 큰 지장을 받거나 불편을 감수하고 있다고 어려움을 호소한다.
각급기관의 원활한 유지를 위해서는 각종 물자의 공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 조달물자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업체들과의 입찰에서부터 조달물자 공급까지 긴밀한 유대관계도 필요하다. 그러나 유독 경기도에만 조달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이 없다는 것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 그것도 경기도내를 두 개의 다른 지역 기관이 나누어 맡다보니 때로는 지침도 달라 혼란스럽고 효율성도 떨어진다. 행자부도 이제 신설을 긍정적으로 검토한다니 이제 구체적인 신설방안을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