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설]신(新)노년층 위한 노인 정책 필요

1955년생부터 1960년생까지를 ‘베이비부머 세대’라고 한다. 또 다르게 ‘신(新)노년층’이라고도 한다. 약 740만명 정도가 된다. 전철을 무료로 탈 수 있는 만 65세 이후부터를 노인이라고 할 때 이들은 예비 노인들이다. 가뜩이나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가 세계최고라고 하는데, 이들까지 가세하면 초고령사회는 그만큼 더 앞당겨지게 된다. 그런데 신노년층이라고는 해도 이들은 스스로를 노인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신체적으로 건강할 뿐 아니라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와 직업적 노하우가 최고도에 올라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는 어느 정도 사실이다.

이런 신노년층들의 능력이 사장되는 것은 국가적으로도 불행한 일이다. 하지만 현실은 신노년층들에게 냉랭하기만 하다. 취업뿐 아니라 창업도 어렵다. 복지체계 역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에 훨씬 못 미친다. 당연히 신노년층은 앞날을 불안해하고 있다. 이런 고민은 경기연구원의 ‘신노년층, 신세대인가 신빈곤층인가’라는 보고서에도 나타나있다. 보고서는 신노년층의 노후준비 실태를 조사하고 준비된 노년을 위한 노후준비 지원체계를 제안하기 위한 연구결과이다.

노후준비 실태조사 결과, 신노년가구의 예상노후소득은 월 176.4만원이었다. 본인이 생각하는 최소한의 노후생활비는 월 185.8만원이었다. 예상노후소득이 최소노후생활비에는 약간 못 미치고 있다. 노후에 적자가 예상되는 신노년가구도 많았다. 조사결과 4가구 중 1가구는 현재의 경제적 노후준비 수준으로서 ‘절대적 빈곤’이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신노년층 열 명 중 일곱 명 정도는 당장은 물론 65세 이후에도 일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일자리를 원하는 이유는 당연히 소득 때문으로서 65.1%나 됐다.

그러나 건강(16.2%), 자기발전(11%) 여가활용(7.7%)도 만만치 않았다. 경기연구원은 신노년층을 ‘과거와 달리, 여가·취미생활에 관심을 가지며 구매력을 갖춘 신세대’ ‘자녀 세대로부터의 독립된 생활을 원하고 사회참여와 여가·취미에 관한 욕구가 높은 특징’을 보인다고 분석한다. 즉 피동적인 삶이 아니라 삶의 주체가 되길 원하는 것이다. 이는 일자리를 원하는 이유에서도 볼 수 있다. 김도균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들을 위해서는 현재의 노인지원정책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그의 말처럼 ‘신노년층이 생산적이고 활동적인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기존의 복지지원사업과는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