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설]다시 경종 울려준 총기 관리

불법 사제총에 경찰관이 희생되는 일이 발생하면서 총기관리에 대해 경종을 울려주고 있다. 지난 19일 오후 서울에서 폭행 사건 신고를 받고 출동한 번동파출소 김창호 경위가 40대 용의자가 쏜 사제(私製) 총을 맞아 숨졌다. 전과자인 용의자는 현장 곳곳에 각종 사제 총기와 폭발물을 숨겨놓았고, 서바이벌 게임용 방탄조끼에 헬멧까지 착용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에 쫓기면서도 10여 차례나 총을 난사했다니 기가 막힌 일이다. 하마트면 더 많은 희생자가 발생할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용의자가 소지한 사제총은 조잡하기는 했지만 나무토막에 철제 파이프를 테이프로 감고, 파이프 뒤에서 불을 붙이면 쇠 구슬이 발사되는 형태였다. 그래서 경찰이 범죄현장에 출동할 때는 이제 사제총 등 흉기를 염두에 두고 무장을 해야 한다는 교훈을 주었다. 언제 어디서 사제총으로 범행할지 모르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살해 용의자는 인터넷에서 총기제조법을 익혀 사제총을 만들어 범행도구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인터넷 사이트에서 유포되는 불법무기 제작 정보는 지금도 넘쳐난다. 간단한 키워드만 넣으면 폭탄이나 총기 도면과 제작 방법을 검색할 수 있고, 동영상으로까지 소개되고 있다. 필요한 재료는 문구점이나 화공 약품점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고 한다.

지난해 2월 세종시 편의점 총기 난사사건 이틀만에 화성 남양에서 70대 남성이 엽총을 난사해 현장에 출동했던 경찰관 1명을 포함해 3명이 사망하고 피의자 역시 자살한 사건이 있었다. 그 이후 총기소지는 정신과 의사의 감정이 있어야 하고, 수렵에는 3명이 동행토록 관련법을 고쳤다. 이번 사건의 용의자 역시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어 사제총을 만들어 갖고 다녔을 수도 있다. 그러기에 일상 생활용품으로 위험한 무기를 만들 수 있는 현실을 차단하는 방법을 종합적으로 강구하고 단속해야 할 때가 됐다. 더욱이 다음달이면 전국적으로 4개월 간 수렵이 허용되는 곳이 많다. 경찰서에서의 엽총류 등 총기반출이 빈번해지는 시기여서 총기관리에 더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미 국내에서도 최근 몇 년 동안 사제총기를 만들었다가 적발된 사례가 심심치 않게 보도됐다. 사제 총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는가 하면 한 학생이 학교 교실에서 부탄가스통을 폭발시켜 큰 충격을 주기도 한 사건들을 우리는 기억한다. 이번 사건의 용의자처럼 반(反)사회적 충동을 총기 공격 등으로 해소하려는 사람이 있기에 사제총을 비롯한 광범위한 총기관리가 더욱 시급하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