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주식회사 설립이 오는 11월 중순쯤 가능할 것 같다. 가장 큰 난제였던 설립 필요 민간자본 48억원 조달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것이다. 경기도주식회사 설립에 필요한 초기 출자금은 모두 60억원. 이 중 경기도가 12억원을 부담하고 나머지 48억원은 민간 자본으로 조달키로 했었다. 이게 말처럼 쉬운 것은 아니다. 그러나 도의 적극적인 노력과 함께 도내 경제단체와 금융권의 호응에 힘입어 설립과정의 가장 큰 산을 넘은 것이다.
가장 큰 도움을 준 것은 경기도내 22개 지역의 상공회의소들이다. 총 20억원을 출자했는데 이는 전체 출자액의 1/3이나 되는 금액이다. 수원과 화성 등 규모가 크고 재정 여건이 좋은 곳은 더 많은 금액을 출자했고 나머지는 형편에 따라 차등 출자했다고 한다. 여기에 더해 경기도청 금고은행인 농협과 신한은행도 약 10억원씩 출자하기로 했다는 소식이다. 역시 전체 설립 출자 금액의 1/3이다. 또 중소기업청은 당초 1억5천억원을 계획했으나 최대 3억원의 출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한다. 여기에 더해 중소기업과 관련한 협동조합과 여성기업 등 경제단체들도 약 5억원의 출자금을 조성키로 했다.
더 의미가 있는 것은 이들의 출자가 행정기관의 강압에 의한 것이 아니라 자발적이라는 것이다. 이는 경기도주식회사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판단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경기도주식회사의 앞날에 더 기대감을 갖게 한다. 경기도 주식회사는 도가 추진 중인 공유적 시장경제의 역점 사업으로 남경필 지사의 연합정치 추진과제 중 하나다. 도내 중소기업을 돕기 위한 ‘상법상 주식회사’다. 한국에는 훌륭한 기술력을 갖고 있거나 우수한 제품을 생산하는 중소기업들이 많다. 그럼에도 자본과 인력, 노하우 등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도에 따르면 경기도주식회사는 앞으로 도내 중소기업들에게 통합브랜드, 판로개척, 마케팅, 디자인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한다. 중소기업이 아이디어만 제공하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중소기업인들로서는 기대가 될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우려도 있다. 지난 6월27일 열린 경기도주식회사 공개토론회에서 중소기업연구원 이동주 본부장이 제시한 의견처럼 지나친 관의 개입보다는 ‘시장 지향적인 의사결정’이 이뤄져야 하고, 이를 통해 자유로운 기업 활동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패한 유사사례 중에 지나친 관의 개입이 많았다는 지적을 새겨듣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