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내각·靑참모 인적쇄신 요구 압박… 朴대통령 “심사숙고하겠다”

최순실 의혹 후속조치 고심

최순실 개입 인정 대국민 사과 불구 들끓는 여론 여전
靑수석비서관 회의 ‘일괄사표 찬성-반대’ 난상토론만
레임덕 가속화 우려 대대적인 참모진 개편도 힘들어

野 압박 우병우 민정·3∼4명 비서관 교체 절충론 부상
朴대통령 측근 의존도 높아 ‘결단’ 내리기 시일 걸릴듯
주말 이전 ‘물갈이’ 難望… 일부의 탈당 요구엔 난색


박근혜 대통령은 26일 최순실 씨 국정개입 의혹으로 인한 정국 혼란을 수습할 후속 조치 마련을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이 전날 최 씨가 연설문 작성에 개입한 사실을 인정하고 대국민 사과를 했음에도 여론이 가라앉지 않고 있어서다.

여야를 가리지 않고 대대적인 인적 개편은 물론 박 대통령의 탈당 결단을 요구하는 목소리까지 쏟아내는 형국이다.

더불어민주당이 이날 청와대 비서진 전면교체를 정식으로 촉구한 가운데 집권여당인 새누리당도 김재원 정무수석을 통해 청와대 수석 참모진과 내각의 ‘대폭적인 인적쇄신’을 박 대통령에게 공식 요청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새누리당 요구를 전달받은 뒤 이정현 대표에게 전화를 걸어 “이번 사태의 심각성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 당의 제안에 대해서 심사숙고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이 대표가 전했다.

황교안 국무총리는 국회 예결위 전체회의에서 내각 총사퇴 의향을 묻는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의원의 질문에 “저를 비롯해 (국무위원들은) 자리에 연연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고, 이원종 대통령비서실장도 “취임 첫날부터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생각은 마찬가지다”라고 말했다.

인적쇄신 등 후속 조치와 관련해 청와대 수석비서관들은 전날 이원종 대통령비서실장 주재로 회의를 열어 난상토론을 벌였으나 여러 견해가 팽팽히 맞서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참석자는 “수석 이상 참모들이 일괄 사표를 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다른 참모는 “난파선에서 배를 버리고 떠나자는 무책임한 주장”이라며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고 한다.

아울러 대안 없이 참모진이 일괄 사퇴하면 ‘최순실 사태’로 레임덕이 가속화하는 상황에서 국정 공백이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는 현실론도 제기된 것으로 전해졌다.

임기를 1년 4개월 남기고 최악의 스캔들에 휩싸인 ‘박근혜호’에 올라탈 인재들을 구하기 쉽지 않은 데다 후임 인선을 조기에 마무리할 수 있더라도 교체 폭이 크다면 안정적인 국정 마무리를 기대할 수 없다는 논리에서다.

청와대 참모진은 이날 오전 안종범 정책조정수석 주재로 정책점검회의를 열었으나 대통령 일정이나 정책 등의 현안에 대해서만 논의하고 인적쇄신 등의 조치에 대해선 진전된 이야기를 나누지 못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또 박 대통령이 이번 사태를 본인의 책임이라고 판단해 참모들에게 책임을 떠넘기기 어렵다는 생각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해법 마련에 더욱 고심을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새누리당이 대폭적인 인적 쇄신을 공식 요청하고 야당과 일반 여론의 압박도 거센 만큼 박 대통령이 심사숙고의 결과물을 내놓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따라서 이 비서실장을 비롯해 각종 의혹으로 야권으로부터 사퇴 압박을 받는 우병우 민정수석, 정호성 부속비서관 등 3∼4명 정도를 물러나게 해야 한다는 절충론도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더라도 해당 참모들에 대한 박 대통령 의존도가 높아 결단을 내리기까지는 시일이 다소 걸릴 것이 유력하다.

대체자를 물색하는 데 걸리는 기간까지 고려하면 빨라도 주말 이전에는 인적쇄신 결정을 내리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공식 요구사항은 아니지만 여당 내에서 점차 표면화하는 박 대통령의 탈당카드도 주목된다.

다만 지금 곧바로 탈당하면 현 정권이 1년 이상 ‘식물정부’로 갈 수 있다는 점에서 청와대 내에서는 탈당은 어렵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연합뉴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