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농단 의혹의 중심에 선 최순실씨가 지난 30일 전격 귀국하면서 검찰수사에 온 국민의 눈길이 쏠리고 있다. 31일 오후 검찰이 최씨를 소환하면서 본격적인 수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직도 입국과정에서 정부의 대응을 보면 의혹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비선실세’ 의혹의 장본인이 입국하면서 공무원들의 안내를 받으며 모처로 유유히 사라진데다 서둘러 입국하게 된 경위도 석연치 않기 때문이다. 또한 귀국 즉시 긴급체포를 통한 신병확보로 증거인멸의 우려를 불식시켜야 했다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린다. 검찰은 최씨가 입국한 지 36시간이 지나서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하겠다고 한 것 역시 관련자들에게 시간을 벌어주게 한 것이나 다름없다는 지적이다.
특히 검찰은 지난 9월 29일 최씨 관련 고발이 접수됐음에도 3주 이상이나 미적거리다가 지난달 20일에야 본격 조사에 들어간 것에 대해서도 ‘뒷북 수사’라는 비판을 받는다. 조사가 늦어지면 늦어질수록 은폐를 위한 시간을 주는 것이며 핵심 관련자들이 검찰수사에 미리 대비하고, 또 증거 자료들 역시 다수 폐기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이유다. 의혹의 몸통인 최씨가 귀국 전 한 언론인터뷰를 통해 물의를 일으켜 국민들께 죄송하다고 하면서도 국정개입 의혹에는 극구 부인하는 모습에서도 의심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어떻든 검찰의 철저한 수사의지에 따라 향후 정국의 방향이 달려 있다. 얼마나 진실을 파헤쳐 국민적 의혹을 씻어내느냐가 관건인 것이다. 몸통과 실체가 빠진 용두사미식 수사로는 국민들이 납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청와대 압수수색 과정에서의 논란도 마찬가지다. 한 점의 의혹없는 수사를 국민에게 약속한다면 떳떳한 자세로 검찰에 적극 협조해야 함은 물론이다. 사표가 수리된 이른바 ‘문고리 3인방’이나 미르재단, K스포츠 설립에 적극 개입한 정황이 나타나고 있는 안종범 전 수석 그리고 전경련에 대한 철저하고도 성역없는 수사를 병행해 국기문란 실체를 낱낱이 밝힘으로써 식물정부로 전락한 국정의 동력을 확보하는데 총력을 기울일 일이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국민들은 다시 특검을 원할 수밖에 없다. 국민의 눈과 귀는 정국의 블랙홀과도 같은 이 사건에 모두 빨려들고 있기에 이 사건 수사에 명운을 걸어야 한다. 정치적 부담과 살아있는 권력에 좌고우면하는 순간 검찰 스스로가 신뢰를 더욱 잃게 된다. 나아가 철저한 의혹규명은 국가기능을 되살리는 길임을 검찰은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