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사회발전을 위해서 최첨단분야의 강소기업육성이 절실하다. 다양한 경쟁력의 향상과 사용자를 만족시켜 갈 수 있는 분야의 개발을 서둘러가야 할 때이다. 잠재된 첨단과학기술을 토대로 국내시장은 물론 해외시장개척에 박차를 가해야한다. 아시아를 비롯한 구미 유럽시장의 개척을 위해서 적극적으로 대처해가야 된다. 경기도는 ICT 집적단지 조성을 위해서 5천400억 원을 투입한다. 2019년에 완공할 NEW를 비롯하여 빅데이터·SW 등 IT·BT·CT 분야 600개사가 입주하여 연간 1조1천억 원의 경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IT·BT·CT 등 첨단분야 강소기업이 입주할 ICT 집적단지가 오는 2019년에 용인 기흥에 들어선다. 경기도는 최근에 도청에서 입주 예정 기업 등이 참여한 가운데 용인 기흥 ICT밸리 조성 및 투자유치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용인 기흥 구갈동 4만3천여㎡ 부지에 조성되는 기흥 ICT밸리에는 5천400억 원을 투자하여 연면적 28만㎡ 규천의 40층짜리 건물 2개동 등 3개 건물을 건립한다. 이곳에는 인기 드라마와 영화를 제작한 NEW를 비롯해 빅데이터 및 소프트웨어, 바이오 관련 국내외 첨단산업 분야 600여개 강소기업이 입주하게 된다.
위축되어가는 중소기업육성을 위해서도 새로운 강소기업이 조속히 발전해가야 한다. 올해 안에 착공하여 2019년 말까지 완공할 예정이다. 현재보다는 격변하는 미래를 생각하면서 진취적으로 대응해가기 바란다. ICT밸리 조성은 전문개발업체인 SNK가 투자금 등 전체를 담당하며 도는 행정적인 지원을 맡게 된다. 발 빠른 행정지원과 편익증진을 위해서 적극적으로 대처해가야 한다. 기흥 ICT밸리가 조성되면 8천여 개 일자리가 만들어지는 등 연간 1조1천억 원의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고용창출은 지역경제발전의 근간이 된다. 경기도는 밸리를 첨단 강소기업 집적지로 육성하여 판교 및 광교 테크노밸리, 동탄 첨단산업단지 등과 연계한 첨단산업 벨트로 발전 성장시켜 가야할 것이다.
기흥 ICT밸리는 국내 최대 규모의 지식산업센터가 되어야한다. 새로운 첨단분야 강소기업 메카로 만들어가는 일이 중요하다. 축적된 우리의 최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경쟁력과 생산력을 키워가기에 최선을 다해야할 때이다. 경기도는 이제 강소기업의 최첨단기술개발의 보고로서 역할을 다해가야 한다. 행정서비스는 물론 자금조성과 지원을 위한 대책도 마련해가야 할 때이다. 지형적 여건과 인적자원이 풍부하여 개발실현성이 높은 장점을 구현해갈 수 있도록 관계당국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기존의 다양한 업체와의 컨소시움을 강화해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