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기상청 제공

종합어시장 이전 10년답보 깨고 추진 본격화

타당성 검토용역·설문조사 결과
1국제여객터미널 부지 최적지
시, 민·관참여 TF팀 구성
사업로드맵 논의·행재정 지원

건물 노후화로 인한 안전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인천종합어시장의 인천항 제1국제여객터미널 자리로의 이전 계획이 본격 추진될 전망이다.

인천시는 3일 인천어시장 이전 논의를 위해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TF팀을 구성·운영한다고 밝혔다.

인천어시장 이전 TF팀은 시와 중구청, 인천관광공사, 인천항만공사, 인천발전연구원, 인천종합어시장상인회, 인천상인연합회 등 6개 기관이 참여한다.

TF팀은 앞으로 현안과제인 공영수산물 판매를 위한 수도권 최대의 어시장 조성방안과 도시계획·관광분야의 행정지원방안, 어시장 이전 재원 조달방안, 민간사업자 참여 및 공모 방안 등을 검토해 시장 상인회와 함께 사업추진 로드맵을 논의하게 된다.

인천어시장은 40여 년의 역사를 가진 인천지역 대표 수산시장으로 그동안 건물 노후화로 외벽이 기울고 기둥 균열이 발생하는 등 안전문제가 꾸준히 제기됐다.

또 부지가 좁아 시장 주변 도로가 불법 주·정차와 교통체증으로 민원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시는 인천어시장의 이전을 통한 대규모 종합수산물유통단지로의 신설을 추진하고 있었으나 10여 년째 답보상태에 놓여 있어 주민들과 상인들의 숙원사업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지난 4월 인발연이 발표한 ‘인천종합어시장 이전부지 타당성 검토 용역’에 결과에 따라 인천항 제1국제여객터미널 부지가 이전 최적지로 선정돼 이전 사업 추진이 가속화 됐다.

이 부지는 바다가 인접하고 전망이 뛰어나며 소비자들의 접근성이 우수해 최적의 구비조건을 갖춘 것으로 평가됐다.

또한 인천종합어시장 사업 협동조합의 자체 설문조사 결과 521명 중 487명인 93.5%가 제1국제여객터미널로의 이전을 찬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 관계자는 “인천종합어시장 이전을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전국 최고의 어시장을 조성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항만공사는 기존 국제여객터미널의 활용방안을 모색중에 있으며 지난 중간 용역 수립결과 제1국제여객터미널을 해안특화상가(테마상가/Seafood), 워터파크, 호텔 등으로 조성하는 용역 안을 제시한 바 있다.

/류정희기자 rjh@

네티즌 의견 18

스팸방지
0/300자
  • 김미화
    • 2024-12-05 06:10:33
    • 삭제

    학교문화예술교육은 수업시간 아이들이 예술활동을 직접 경험, 참여한다. 그. 과정에서 배우는 것은 땀을 흘리며 서로 협동하며 감정을 나누고 표현한다. 마음과 마음을 나누니 나와 친구의 소중함을 알고, 존중 배려도 자연스럽게 배우며 자신의 변화와 가능성을 알게된다. 함께 살아가는 이 사회에서 꼭 필요한 교육이다. 누구나 공교육 안에서 평등하게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경기도 교육청은 보장해야한다. 예산 증액이 답이다.

  • 서영
    • 2024-12-04 16:17:01
    • 삭제

    일자리를 잃은 예술강사들은 생계를 어떻게 이어가야 할까요?
    10년이상 아이들에게 예술적 감수성을 일깨워주기 위해 최선을 다하며 살아왔는데, 경기도 문화예술교육은 이대로 끝나는 건가요?

  • 대한민국배우
    • 2024-12-04 15:50:04
    • 삭제

    아이들의 예술교육이 얼마나 필요한지 모르시는 정부!!!
    우리 아이들이 항상 기다립니다.
    그것도 경기권 학교 많은데 왜 경기만 삭감이죠???
    공부하는 것도 중요하죠.
    하지만 예술교육으로 아이들의 표정이 다릅니다.
    공부만 하는 아이들, 디지털교육으로 공부하는 아이들.
    나중에 똑같은 모습이지 않겠어요??? 안경쓰고 멍~~한 표정 되겠죠.
    그걸 원하시는건가요??? 예술교육을 한다고 해서 아이들에게 재능만을 살려주는것은 아닙니다.
    예술교육으로 인해 세포가 깨어나고 창의적인 생각과 움직임,말을 할 수 있다는 것!!!!!

  • 봄건강
    • 2024-12-04 15:38:34
    • 삭제

    정말 슬퍼요… 왜 이렇게 해야하는지
    우리 아이들의 문화예술교육권 , 예술강사들의 생활권 지켜져야 합니다!!!!

  • 경기도민
    • 2024-12-04 15:37:29
    • 삭제

    경기도민으로 문화예술교육을 하고있습니다
    학생들에게 정서의 싹을 틔우고 자라게하는 문화예술교육은 평생교육시대로 나아가는 중요한 교육임에도 교육비 삭감은 너무 무책임합니다
    문화예술교육비 복원해주십시오오

  • 경기도맘
    • 2024-12-04 15:28:53
    • 삭제

    왜 경기도만 이래요?
    어떤분야도 이런식이 대폭 예산삭감 큰 문제를 불러일으킵니다.
    하물며 아이들의 공교육 속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을 삭감한다니요?
    이제 예술교육은 전부 사교육 하라는건가요?
    누구를 위한 삭감인가요?
    문화예술교육강사들은 한순간에 일자리도 잃게 되는건데 대안은 있나요?
    협의가 된건가요?
    무책임한 정부밑에 무책임한 경기도네요?
    정말 2024년이 맞나 싶네요.

  • 동그라미
    • 2024-12-04 14:36:39
    • 삭제

    학교에서 문화예술교육을 받지 못하는게 말이됩니까?이게 교육청이 하는짓 맞습니까? 예술은 교육 안 받아도되고 국영수는 필수입니까? 도대체 예술교육에 관련된 사업예산을 말도안되는 수준으로 예산을 삭감하면서까지 아이들의 꿈과 감성과 희망과 맘에 양식을 없애려하십니까 ? 왜 나무만보고 숲을 보지 못하는지요 아이티 강국이면 무엇합니까
    문화예술을 배우지 못하고 접하지 못하는 아이들을 생각해보셔요 제발
    학교예술강사들의 예산을 복원 하십시요!

  • 그리니
    • 2024-12-04 14:32:10
    • 삭제

    정작 우리가 내세울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힘이 무언지도
    생각이라는 걸 안하고, 그저 남의나라 베끼기에 급급한
    사대정책이 우리 미래들의 소중한 정신을 망쳐가고
    있다. 국민들 혈세로 도대체 무슨 생각의 정책을 펼치고 있는지 참 신기할 따름이다.

  • 글쎄요~
    • 2024-12-04 14:19:19
    • 삭제

    디지털 교육 강조 필요하죠. 그러나 디지털교육에 앞서 아이들의 상상을 자극하고 다양한 표현을 시도하는 예술교육을 진행함으로써 창작자로서 생각하는 힘을 키워주고 주도적으로 로직을 세우는 방법을 연습하는 선행이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이런말 이전 인간의 생각과 영혼을 표현하는 예술교육의 중요성은 이제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을 다양하게 연습하는 학령기에 꼭 필요하다는 건 누구나 알것입니다. 그때 경험한 예술의 씨앗이 어른이 되어 사는 삶의 나무가 되어 자라니까요. 우리의 아이가 어떤 인간이길 바라는가 생각해봅시다

  • 글쎄요~
    • 2024-12-04 14:15:52
    • 삭제

    디지털 교육 강조 필요하죠. 그러나 디지털교육에 앞서 아이들의 상상을 자극하고 다양한 표현을 시도하는 예술교육을 진행함으로써 창작자로서 생각하는 힘을 키워주고 주도적으로 로직을 세우는 방법을 연습하는 선행이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이런말 이전 인간의 생각과 영혼을 표현하는 예술교육의 중요성은 이제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을 다양하게 필요하는 학령기에 꼭 필요하다는 건 누구나 알것입니다. 그때 경험한 예술의 씨앗이 어른이 되어 사는 삶의 나무가 되어 자라니까요. 우리의 아이가 어떤 인간이길 바라는가 생각해봅시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