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설]쌀 소비 촉진 ‘식량안보’ 차원에서 추진하라

경기도농업기술원이 2010~2015년 수도권 가구의 쌀 구입실태를 조사한 결과 한가구당 연평균 쌀 구입액이 18만4천523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쌀 구입자인 주부들의 연령층에 따라 구입액도 달랐다. 30대 이하 14만여 원, 40대 17만여 원, 50대 22만여 원, 60대 이상 21만여 원으로 50~60대 주부 연령층 가정에서의 쌀 소비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조사에서 눈에 띄는 것은 점차 감소하는 쌀 구입액이다. 2010년 가구당 평균 17만4천27원이었던 것이 2015년엔 16만4천667원으로 감소했다.

개인당 연간 쌀 소비량도 갈수록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엔 62.9㎏이었는데 이는 1970년의 136.4㎏에 비해 무려 73.5㎏(54%), 2000년의 93.6㎏에 비해 약 31㎏(33%)이나 감소한 것이다. 물론 당시에는 국민소득이 낮았고 쌀 외엔 먹을거리가 별로 없었기 때문이다. ‘밥심’이란 말은 당연한 것이었다. 그러나 시대가 달라졌다. 당시보다 국민소득이 크게 증가했고 먹을거리가 다양해졌으며 입맛도 변했다. 게다가 탄수화물 식습관이 비만이나 과체중 등을 유발한다며 쌀밥을 기피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탄수화물은 단백질, 지방과 함께 우리 몸에 꼭 필요한 필수 영양소라서 적당량을 섭취하지 않을 경우 대사 불균형을 일으킨다고 경고한다. 이런 저런 까닭에 쌀 소비량은 계속 감소하고 있다. 벼 재배면적도 감소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계속 풍년이어서 쌀 생산량은 줄지 않는다. 국가보유 재고쌀도 넘치는데다가 외국에서 매년 의무적으로 쌀을 들여와야 한다. 농민들의 시름도 크다. 현재 쌀값이 24년 전 수매가격과 똑같다며 정부의 안이한 쌀 정책을 비난하고 있다. 현재와 같은 상태가 지속될 경우 쌀 생산 농민의 생존권 문제와 재고 보관에 따른 재정적 부담은 더욱 커질 것이 틀림없다.

더 큰 문제는 쌀농사를 포기하는 농민이 늘어나는 것이다. 주식(主食)의 자급률이 떨어지고 국가적인 ‘식량안보’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이미 국제 곡물가격은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 산소를 발생시켜 대기를 정화시키고 홍수나 가뭄을 예방하는 역할을 해주는 논이 사라짐으로 인한 환경피해도 발생한다. 따라서 쌀이 남으니 논을 없애야 한다는 단안(單眼)적인 대책이 아니라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쌀 소비촉진 운동이 필요하다. 젊은 층의 서구화된 식습관에 맞춘 쌀 식품 보급, 맛있는 쌀 품종 개발, 해외 수출시장 개척 등 국가적 노력을 멈추지 말길 바란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