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3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트럼프發 금리인상 ‘가계빚 시한폭탄’ 터지나?

올들어 2금융권 가계부채
8.2%→13%대로 ‘껑충’
134만 한계가구 부실화 우려
“고정금리·분할상환 전환을”

미국 대선 이후 시장금리가 급격히 오르면서 1천300조원에 육박한 가계부채의 ‘뇌관’이 터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뇌관으로 지목된 것은 금융부채가 금융자산보다 많고, 원리금 상환액이 가처분소득의 40%를 넘는 134만 한계가구와 제2금융권 가계부채로, 금리 상승으로 이자 부담이 늘면 저소득층, 자영업자, 고령자가 다수를 차지하는 한계가구가 무너지면서 국내 경제에 충격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13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취약계층이 주로 이용하는 저축은행·상호금융·새마을금고 등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은 올 들어 가파르게 증가했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2013∼2015년 3년간 연평균 8.2% 증가했으나 올해 증가율은 13%대(상반기 기준)로 훌쩍 뛰었다.

한국은행이 집계한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대출 잔액은 지난 8월 현재 274조938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25조5천억원 증가했다.

경기둔화가 장기화하고 가계의 가처분소득이 줄면서 생활자금 대출 수요가 많아진 것이 제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세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제2금융권 여러 곳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 비중은 올해 1분기 26.9%로 높아졌고, 저소득층 대출자 비중도 33.6%까지 올라왔다.

저금리로 현재 가계의 원리금 상환 부담은 크지 않지만, 앞으로 금리가 상승하거나 소득이 감소하는 등 충격이 발생하면 제2금융권 한계가구부터 집단으로 부실해질 가능성이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공화당 후보의 대통령 당선 이후 시장금리 상승세는 심상치 않은 상황이다.

트럼프 경제정책의 핵심은 세금을 더 걷는 대신 국채 발행을 늘리고, 이를 기반으로 재정지출을 확대하는 것인데, 국채 발행을 늘리면 국채 가격이 하락하고, 재정을 많이 풀면 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진다.

이는 모두 미국의 금리 인상을 부를 수 있어 한국 시장금리를 끌어올리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에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금리 인상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송인호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지금부터 취약계층의 부채상환능력 약화에 대응해야 한다. 가계부채의 질적 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인 고정금리, 분할상환 전환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고, 홍준표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계가구가 고금리에서 중금리로 갈아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하는 등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김장선기자 kjs76@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