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중 사상 처음으로 현직 대통령에 대한 검찰조사가 진행될 것이라고 한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는 오늘이나 내일쯤 박근혜 대통령을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하겠다는 방침을 청와대에 전달했다. 오는 19일쯤 최순실씨를 기소하기 위한 전 단계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통령과 독대를 한 것으로 알려진 7대 그룹 총수들로부터도 면담과정과 내용을 진술받은 검찰로서는 대통령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불가피함을 인식한 것이다. 납득할 수 있는 조사를 통해 국민들의 의혹을 풀어줘야 한다. 자칫 대통령에 대한 조사가 부실하다거나, 용두사미 격으로 결론을 냈다가는 가뜩이나 불신받는 검찰에게 화살이 돌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로서는 대통령이 검찰에 소환돼 포토라인에 서는 것보다는 청와대 방문조사나 제3의 장소에서 조사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에서도 필요하다면 검찰조사에 응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헌정 사상 초유의 사례가 빚어지게 됐다. 구속된 안종범 전 정책조정수석과 정호성 전 비서관 등 핵심 측근들은 검찰조사과정에서 최순실씨의 국정농단 의혹 전반에 걸쳐 박 대통령이 직,간접적으로 연루됐음을 시인하는 듯한 진술들이 잇따라 나오는 상황이어서 대통령에 대한 조사가 불가피해진 게 사실이다. 필요하다면 이들과의 대면을 통해서라도 진실을 명확하게 밝히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된 것이다.
지난해 10월 당시 경제수석이던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에게 박대통령이 미르재단 설립 준비 상황을 묻고 지지부진하자 역정을 냈다는 진술을 검찰이 안 전 수석으로부터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르재단이 졸속 출범하게 된 배경에 박근혜 대통령의 관심과 지시가 있었다는 정황이다. 정호성 전 비서관 역시 검찰 조사에서 “대통령이 최씨에게 전달해 의견을 들으라고 했다”고 진술함으로써 최씨가 대통령의 개입 또는 묵인으로 결재권자 행세를 한 정황이 드러나고 있다. 대통령은 이제 검찰의 칼끝을 피하기 어렵게 된 상황을 맞았다.
검찰은 이번 대면조사에서 박 대통령이 미르재단의 설립 과정과 문건 유출에 어느 정도로 관여했는지를 정확히 가려야 한다. 정상적으로 한다 해도 최소 한 달 걸리는 재단이 단 하루만에 설립됐다는 것은 윗선의 개입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국가경제와 국민의 삶에 도움이 될 것으로 대통령이 생각했다지만 두 재단에 최순실씨가 개입한 증거가 나타나고 있기에 이제 대통령의 입을 주목할 수밖에 없다. 대통령에 대한 한 치의 의혹 없는 조사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