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겨울이 다가오고 있다. 금년 겨울은 예년보다 더욱 추워질 것이라는 기상예보다. 집 없는 취약계층 사람들의 주거문제는 심각하다. 논밭에 방치된 비닐하우스에서 보금자리를 만들어 겨울을 지낸다. 정부와 지자체도 한정된 예산으로 이들을 위한 새로운 주거지 확보가 어렵다. 오갈 때 없는 이들에 대한 안전한 겨울나기 대책이 절실하다. 경기도내에 화재에 취약해 안전 사각지대인 주거용 비닐하우스가 증가하고 있어 문제이다. 지난 2001년 인명과 재산피해 예방을 위한 주거용 비닐하우스 해소 대책을 마련하였다. 임시방편적으로 근본적인 대안모색이 안 되고 있다. 사회복지차원에서 해결해 가야한다.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은 채 반복되는 현실을 해결해가기가 어려울 뿐이다. 존엄한 인권을 보호받지 못하는 현실이 안타깝다. 30일 경기도 재난안전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주거용으로 사용하는 도내 비닐하우스는 2천174단지 2천930동이다. 시·군별 분포를 보면 고양시가 661동으로 가장 많다. 과천시가 331동, 성남시 157동, 하남시 149동에 거주하고 있다. 주거용 비닐하우스는 화재발생의 위험이 가장 높은 곳이다. 매년 지속되는 화재로 인해서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지난 1월에는 고양시 일산동구 주거용 비닐하우스에서 화재로 일가족 4명이 긴급 대피했다. 지난해 3월에는 고양시 덕양구 비닐하우스에서 불이나 1명이 숨졌다. 이 비닐하우스는 작물 출하 등 작업량이 많을 때 임시 숙소로 사용한 곳이다. 경기도는 주거용 비닐하우스 화재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지난 2001년 8월 당시 2천200여동이던 주거용 비닐하우스의 자진 철거와 주민 이전을 적극적으로 유도한다는 대책을 마련했다. 그러나 15년이 지난 현재에도 도내 주거용 비닐하우스는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주거용 비닐하우스 거주자들을 강제로 이전시키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화재로 인한 인명과 재산피해를 막기 위해 소방서별로 정기적인 화재예방 교육과 소화기 보급, 정기적인 순찰 및 안전점검을 강화해갈 뿐이다. 장기적으로 주거용 비닐하우스를 없애고 안정된 주거지를 제공해주어야 한다. 아직도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복지시설의 확충이 절실하다. 지자체와 시회복지기관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을 확충해가기 바란다. 신용불량자, 노숙자, 비닐하우스거주자 등의 취약계층에 대한 인권보호와 복지대책 마련해가야 한다. 취약계층 발생의 예방을 위한 관리시스템을 만들어 갈 때이다. 추운겨울을 안전하게 보낼 수 있도록 자원봉사단체의 적극적인 활동과 지원이 절실하다.